2차 백두대간 산행기

백두 대간 2차 9구간(6차)(신풍령-삼봉산-소사고개-삼도봉-대덕산-덕산재)

터보식스 2013. 3. 19. 18:24

한국등산클럽 1180차 백두 대간 2차 9구간(6차)

신풍령-삼봉산-소사고개-삼도봉-대덕산-덕산재

 

일자 : 2013년 03월 17일

참석 인원 : 44명

날씨 : 맑음

총도상거리 : 약16.2Km

총 소요시간 : 6시간02분

 

 

신풍령(뼈재 10:25)~수정봉(1050m 10:45)~된새미기재(11:01)~호절골재(11:22)~삼봉산(1254m 11:34)~급사면 갈림길(12:10)~794봉(12:35)~소사고개 입구문 안부(12:46 점심식사 13:05)~소사고개(1089번 지방도 13:18)~부산농장(13:33)~임도 안내판(13:47)~수도 지맥 갈림길(14:18)~삼도봉(초점산 1,248.7m 14:27~14:34)~(대덕산정상1290m 15:08~15:15)~약수터(15:36)~어름폭포(15:51~16:00)~덕산재(16:27)

 

선답자들의 기록을 보면 덕유산 구간이 산불방지 기간이 이 시기에 있다고 되어 있어 덕유산 국립 공원 관리 공단 홈페이지에 혹시 공지가 되어 있나 찾아 보았으나 확인이 쉽지 않았다.

 

15일 확실히 확인이 필요할 것 같아 한번 더 홈페이지를 열람하니 공지사항에 2월26일자로 3월1일부터 4월 30일까지 산불 조심 입산통제구간이라고 되어 있다.

 

구간은 남덕유산이 아닌 신풍령으로 갑자기 변경된다.

 

 

 

 

 

 

 

 

10시18분 신풍재(빼재)에 도착한다. 이 곳에는 秀嶺 표지석과 덕유산 국립공원 안내판이 세워져 있고 정자와 백두대간 표지석, 수준점을 표시하여 놓았다. 그 아래 신풍령 주유소는 운영을 하지 않고 문이 굳게 닫혀 있다.

 

 

 

 

 

10시25분 인원 점검 및 상견례를 하고 신풍령(빼재) 출발, 좌측 나무 계단을 향하여 간다.

 

 

 

10시28분 거창의 백두대간 등산 안내도, 이정표(덕유산, 삼봉산4.1Km), 나무 계단을 올라 한차례 오르막을 오른다.

 

 

능선 좌측

10시34분 능선 이정표(삼봉산 4Km, 하행로 0.1Km), 좌측 능선을 버리고 우측 오르막 능선 진행.

 

10시42분 1040봉 능선마루

 

10시45분 수정봉(1,050m), 많은 표지기외는 다른 표시가 없어 그냥 지나치기 쉬운 곳이다. 서쪽 방향 진행.

 

 

 

10시56분 분기점 이정표(삼봉산 2.6Km, 신풍령 1.9Km, 거창 봉산리 1.9Km)에서 좌측 서에서 북으로 선회, 나무 계단 오르막 오름

 

11시01분 싸리나무와 억새 잡초 평원의 된새미기재.

 

11시03분 능선 좌측 덕유산 조망

 

11시06분 오르막을 오르는 대원들, 1040봉 능선마루

 

11시07분 내리락, 로우프 내리막

 

11시13분 오르막을 오르는 대원들

 

11시15분 오르막 능선 이정표(삼봉산 2Km, 빼재 2Km)

 

 

11시17분 능선 갈림길, 우측 진행... 건너편 기암 조망

 

11시18분 능선 우측 고제면 마을 조망

 

11시19분 기암 능선 조망

 

 

 

 

 

11시22분 호절골재, 이정표(삼봉산 1Km, 빼재 3Km) 우측으로 조망이 트임. 오르막 오름

 

11시27분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지나온 길

 

 

 

11시28분 능선 우측 기암들, 마을 조망

 

11시29분 1170봉 능선마루, 이어지는 완만 오르막 1175봉 능선마루 이후 내리락 오르락, 내리락

 

 

 

 

11시30분 이정표(삼봉산 0.6Km, 빼재 3.6Km, 금봉암 0.7Km),

 

11시31분 키 작은 산죽길 오르막

 

11시34분 나무 계단 오르막

 

 

 

11시36분 이정표(삼봉산 0.3Km, 빼재 3.8Km, 금봉암 0.5Km), 계속되는 삼봉산을 향한 오르막, 암능

 

 

11시37분 능선 우측 조망

 

 

 

 

 

11시38분 1245봉 바위전망대, 덕유산 구간과 지나온 능선 조망

 

 

11시40분 덕유 삼봉산 직전 1250봉 능선마루

 

 

 

 

 

 

11시44분 암능 후 덕유 삼봉산 정상 도착, 작은 돌탑위 정상석(덕유 삼봉산, 1254m), 삼각점(무풍311, 1987 복구), 그 옆 삼각점 안내판,

 

 

11시45분 출발, 이정표(삼봉산, 소사재 2.0Km, 신풍령 4.5Km)

 

11시47분 가야 할 암능

11시50분 1250봉 능선마루

 

11시53분 첫 번째 로우프 암봉 오르막, 좌측 우회로가 있으나 로우프를 잡고 올라 아찔한 암봉 통과

 

11시54분 암봉을 우회하여 오르는 대원들

 

 

 

11시55분 1265봉 능선마루, 조망

 

 

11시56분 두 번째 로우프 내리막, 높이가 어중간하여 조심스러운 암능이다.

 

11시59분 간간히 눈이 녹지 않아 결빙이 있는 암능을 조심하며 내려서며 좌측 덕유산 구간 조망

 

12시01분 암능을 따르는 대원들

 

12시02분 암능

 

 

 

 

 

 

12시04분 백두대간 콜택시 안내판이 있는 1255봉 능선마루, 덕유산 조망, 우측 마을과 가야할 삼도봉, 대덕산 조망

 

12시05분 미끄러운 결빙이 있는 암능 구간을 조심하여 내려 섬.

 

 

12시07분 계속되는 결빙 암능 구간 진행

 

 

12시10분 급사면 내리막 갈림길 이정표(삼봉산 0.8Km, 소사 2.1Km)

로우프를 걸어 놓았지만 눈이 녹지 않고 있는 급사면을 아이젠없이 내려가기는 무리인 것 같아 아이젠 착용. 우측 내리막을 내려선다.

한발 한발 조심하여 진행하지만 무척 조심스럽다.

 

 

12시18분 내리막을 내려서며

 

12시33분 힘들게 급사면을 내려서 완만한 능선으로 이어져 내려간다. 아이젠을 풀려니 길 상태가 미끄러워 그대로 차고 진행.

 

12시34분 로우프 가이드 내리막

 

 

 

 

12시35분 칼바위 같은 바위 지형도상 794봉, 인증샷을 남기고, 좌측 로우프 내리막~~ 

 

12시38분 내리막을 내려서며 뒤돌아 본 삼봉산 능선

 

12시39분 내리막을 내려서며 가야 할 삼도봉과 대덕산 조망

 

12시43분 내리막을 내려서며 뒤돌아 본 삼봉산 능선

 

 

 

 

12시46분 쇠울타리에 쇠문이 있는 사거리재 울타리가 있는 소사고개 입구문 안부 도착.

 

 

 

우측 공터에서 아이젠을 풀고 점심식사를 한다.

 

 

 

 

13시05분 출발, 쇠울타리 쇠문에 일몰후 출입금지라고 적혀있고 울타리는 많은 표지기가 매달려 있는 것을 보고 우측 능선을 오른다.

 

13시08분 능선 우측 임도

 

13시09분 배추밭과 파란 물통, 그 뒤로 심도봉, 대덕산 조망하며 배추밭 좌측 가장자리 진행

 

13시11분 씨레기 흔적만 남아 있는 배추밭

 

13시12분 배추밭 좌측 숲길 내려서며 진행

 

 

 

13시14분 능선 우측 과수원, 좌측 하우스가 있는 마을이 보이는 능선 나무길 통과

 

 

능선 우측으로 임도를 내려서고 있는 대원들

 

13시16분 능선 우측으로 내려서 과수원으로 올라가는 시멘트 임도 내려섬. 좌측 소사재 아스팔트 도로 방향 진행.

 

 

 

 

 

 

 

 

13시18분 이정표(삼봉산)가 있는 1089번 지방도는 경남 거창군 고제면과 전북 무주군 무풍면을 통하는 소사고개, 거창의 백두대간 등산로 안내판과 백두대간(쉬어 가는 곳) 팻말 뒤로 이어지는 대간길 따라 오르며 시멘트 임도 따라 소사고개로 향하는 대원들을 바라본다.

 

 

 

13시20분 능선 좌측 소사마을과 지나온 삼봉산 구간 조망, 하얗게 눈이 쌓여 있는 저 급사면을 내려 왔으니~~~~~

 

13시21분 가족묘와 많은 묘지가 나오는 공동 묘지 통과

 

13시24분 능선 좌측 개간한 밭과 그 뒤의 마을

 

 

 

13시26분 능선 좌측 왕둥굴래농장 안내표지판과 우측 과수원, 키위 농장 통과

 

13시28분 보리밭 좌측 가장자리 통과

 

 

13시29분 시멘트 임도. 뒤돌아 본 삼봉산 능선

 

 

 

13시30분 이정표(초점산(삼도봉) 2.4Km, 소사 0.8Km), 시멘트 임도 우측 진행

 

13시31분 가족묘 좌측 시멘트 임도 따라 진행

 

 

 

 

 

 

우측 농장

 

우측 농장 멍멍이

농장 좌측 대간길

 

13시33분 시멘트 임도를 따르는 대원들, 비닐하우스 3동이 길 게 세워진 부산농장. 우측으로 대덕산 안내판 따라 좌측 영농 기계들을 보며 등산로 화살표 따라 진행, 우측 개들이 짖어 댄다. 부산사람이 운영하는 농장인가? 길 안내를 잘 해 놓아 감사히 통과..

 

 

13시34분 영농 기계 우측 숲길 진입,

 

 

13시37분 다시 시멘트 임도 만남. 뒤돌아 본 삼봉산 능선

 

13시38분 시멘트 임도 쇠사슬 차단기에서 우측 숲 진입

 

13시43분 봄의 전령, 버들 강아지를 보며 임도로 다시 내려섬.

 

13시44분 임도에서 직진 커다란 바위 방향 진행.

 

13시45분 임도 우측 매직으로 사랑을 써 놓은 바위 통과

 

 

13시46분 임도 좌측 농장 건물 지나며 계속 임도 따라 진행

 

 

13시47분 임도 갈림길 안내판(백두대간 삼도봉, 대덕산 등산길입니다)에서 우측 숲길 통나무 계단 오르막 오르며 삼도봉을 향한 된비알 오름.

 

 

13시53분 오르막 능선 좌측 농장 건물

 

13시56분 로우프 오르막 좌측 벌목중

 

13시57분 오르막을 오르며 뒤 돌아 본 삼봉산

 

 

 

14시04분 1170봉 억새 능선 오르막 오르며 뒤돌아 본 조망

 

14시10분 로우프 오르막, 삼도봉에서 하산중인 인천에서 온 산행팀

 

 

14시13분 오르막 오르며 바라본 덕유산 조망

 

 

 

 

14시15분 능선 직전, 오르막 오르며 바라본 삼봉산, 덕유산 조망

 

 

 

 

 

14시18분 수도 지맥 능선 갈림길, 이정표(소사 2.8Km, 국사봉 7.2Km ,초점산(삼도봉)0.4Km), 수도지맥 분기점 준희 팻말, 좌측 진행 오르막 오름.

 

 

 

 

 

 

 

 

 

 

 

 

삼도봉 정상 능선 우측

 

14시27분 삼도봉 도착, 정상석(초점산 해발 1249m 거창군)과 그 밑에 부러진 정상비(삼도봉(초점산)1,248.7m)를 기대어 놓았고 긴의자 2개, 작은 돌탑, 이정표(대덕삼도봉(초점산)1249m, 수리봉 0.6Km, 덕산2리마을 2.8Km, 대덕산 1.4Km), 백두대간(대덕산) 등산 안내지도, 119 표지대 (2-3 대덕산~소사동)가 있다. 이 곳이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의 경계 삼도봉이다. 삼도의 경계를 이루는 봉우리 이지만 누군가 버린 쓰레기로 참으로 초라하다.

 

 

14시34분 조망과 사진 촬영을 하고 좌측 내려서며 출발, 긴 내리막을 내려선다

 

 

 

 

14시40분 바위 전망대 내려서면 안부, 좌측 초록 그물이 있고 팻말(삼도봉, 대덕산, 좌측 개인농장출입금지) 이 두 개 있다.

 

14시41분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삼도봉 이후 내리막 능선

 

14시42분 능선 좌측 초록색 그물

 

14시45분 119 표지대 (2-2 대덕산~소사동)

 

14시48분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삼도봉 이후 내리막 능선

 

 

 

14시49분 오르막 능선 좌측 전망대에서 바라본 삼봉산 능선과 삼도봉 이후 내리막 능선, 지나온 길과 덕유산 능선 조망,

 

오르막 억새 지역

 

14시50분 오르막 능선 우측 쉼터

 

 

 

14시54분 산죽 오르막 능선을 오르며

 

 

14시57분 1260봉 능선마루, 덕유산 능선 조망

 

 

 

14시58분 백두대간 콜택시 안내판이 있는 1265봉 능선마루 이후 119 표지대 (2-2 대덕산~소사동)에서 내리락

 

15시01분 안부 이후 오르막

 

 

 

15시06분 헬기장, 덕유산 주위 산군 조망, 이어지는 오르막

 

 

 

 

 

 

 

 

 

 

 

 

 

 

 

 

 

 

 

 

 

 

 

 

 

15시08분 넓은 헬기장이다. 우측 끝에 정상석(대덕산정상1290m),

정상석, 삼각점(무풍22 1988재설)과 안내판, 이정표(덕산재 3.5Km, 소사동 5.4Km), 대덕산 유래 및 특징을 적은 안내판이 넘어져 있다. 그 반대편에 백두대간(대덕산) 등산 안내지도가 넘어져 있고 그 뒤로 정상 알류미늄비(소사재 5Km, 853봉 6.5Km)가 있다. 사방이 확트이는 조망이다. 덕유산을 깃점으로 사방을 돌아보며 사진촬영을 한다.

 

15시15분 사진 촬영 및 조망후 출발, 우측 내리막을 내려선다.

 

15시17분 119 표지대(1-6 덕산재~대덕산)

 

15시18분 나무 계단

 

15시28분 능선 우측 바위

 

15시25분 능선 갈림길에서 우측 내리막 내려섬. 내리막은 결빙이 녹아 땅이 질어 등산화가 엉망이 된다.

 

15시27분 119 표지대(1-5 덕산재~대덕산)

 

15시36분 약수터, 얼음골 약수터에서 목을 추기는 길손이시여~~~~

라고 적은 안내판이 있다. 마시지 않고 그냥 간다.

 

15시41분 119 표지대(1-4 덕산재~대덕산)

 

15시42분 내리막 능선 표지기

 

15시50분 시원한 물소리가 나며 우측 계곡 갈림길의 119 표지대(1-3 덕산재~대덕산),

 

 

15시51분 우측 어름폭포, 작은 폭포가 시원한 물줄기를 내리고 있다.

등산화를 씻고, 물을 받아서 시원하게 마신다. 여유가 있다.

 

16시00분 119 표지대(1-3 덕산재~대덕산) 다시 돌아 나와 우측 내리막 진행,

 

 

16시02분 희미한 사거리

 

16시07분 119 표지대(1-2 덕산재~대덕산)

 

16시09분 완만 능선

16시11분 묘1기

16시14분 안부, 오르막

 

16시15분 119 표지대(1-1 덕산재~대덕산), 710봉 능선마루, 잠시 내리락후 오르락

 

16시17분 나무 계단 오르막

 

16시18분 뒤를 돌아 지나온 삼도봉, 대덕산 능선 조망

 

16시19분 725봉 능선마루

 

 

16시20분 능선 우측 조망, 지나온 삼도봉, 대덕산 능선 조망

 

16시21분 나무 계단 내리막길

 

16시23분 백두대간 콜택시 안내판

 

16시26분 이정표(대덕산 3.5Km)

 

 

 

 

 

 

 

 

 

 

 

 

 

 

 

 

 

 

16시27분 나무 계단 내리막 이후 김천, 무주를 오가는 30번국도가 지나가는 덕산재 도착. 산행 종료,,,,

 

 

 

 

다음 구간 들머리

 

이 곳에는 김천시 백두대간 등산로 안내 지도, 휴게소로 착각 할 암자와 돌탑, 컨테이너 2개 그 옆에 안내석(백두대간 덕산재 644m), 도로 표지판, 좌측 동물 이동 통로, 이정표(덕산재 644m, 백두대간 등산로(덕산재), 대덕산 3000m, 부항령 3500m, 삼도봉 12600m) 가 있고 긴의자가 있는 쉼터가 있다.

 

 

오후에 비가 온다는 예보가 있는 날의 산행이었으나 비는 오지 않고 적당한 기온에 적당한 날씨속에 산행에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고 지내 온 산행이었다. 삼봉산 이후 급사면 내리막은 안전 시설을 좀 더 보완하여 놓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는 구간외는 무난한 산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