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백두대간 산행기

2차 백두대간 7구간(9차)(육십령-할미봉-서봉-남덕유산-삿갓봉-삿갓골재-황점마을)

터보식스 2013. 3. 19. 18:22

한국등산클럽 1183차 백두 대간 2차 7구간(9차)

육십령-할미봉-서봉-남덕유산-삿갓봉-삿갓골재-황점마을

 

 

일자 : 2013년 05월 05일

참석 인원 : 44명

날씨 : 맑음.

총도상거리 : 약14.0Km(탈출 4.2Km)

총 소요시간 : 7시간22분(백두 6시간03분, 탈출 1시간 19분)

 

 

육십령(09:42)~할미봉(1026.4m 10:32~10:34)~삼자봉(11:07)~교육원 삼거리(11:21)~헬기장(11:30)~서봉(1492m 12:42 헬기장, 점심식사 12:58)~남덕유산 갈림길(13:27)~남덕유산(1507m 13:30~13:36)~남덕유산 갈림길(13:39)~월성치(14:08)~삿갓봉(1418.6m 15:08~15:18) ~삿갓골재(15:39~15:45)~황점마을(17:04)

 

 

지난 3월17일 육십령에서 남덕유산 구간이 4월30일까지 산불방지기간으로 입산 통제되어 3구간을 뛰어 넘었다 5월 첫 주 남덕유산 구간을 이어간다.

 

 

4월 셋째주까지 눈 산행을 한 탓에 눈이 또 있을까 하면서 왔으나 눈은 깨끗이 없어지고 산길은 진행에 어려움이 없는 약간의 더위를 느낄 수 있는 날씨다.

 

 

 

 

 

09시30분 육십령 도착. 산행 준비 및 주위를 둘러보고 인원 점검 및 상견례를 하고

 

 

 

 

 

 

 

09시37분 육십령 출발, 이동통로를 넘어 1차 종주시 단체 사진 촬영하였던 육십령 표지석 앞에서 단체 사진 촬영..

 

09시42분 다시 이동 통로를 지나 거창쪽 산행 안내도가 있는 공사중인 들머리. 오르기가 쉽지 않지만 백두대간 산행을 시작.

09시48분 능선마루를 넘어 내리락 오르락 능선을 따른다,

 

 

 

09시53분 119 표지대(덕유11-01) 해발 729m, 육십령 0.2Km, 서봉 7.4Km, 능선 우측 비닐 하우스가 있는 서상면 마을과 좌측 장수군 마을을 조망. 오르막을 오른다.

 

09시58분 790봉 능선마루

 

10시00분 119 표지대(덕유11-02) 해발 788m, 육십령 0.7Km, 서봉 6.9Km

 

10시07분 완만 능선 이후 오르막을 오르는 대원들

 

10시09분 능선 좌측 장수군 마을 조망

 

 

 

 

10시10분 공터의 915봉 능선마루, 이정표(육십령 1.5Km, 할미봉 정상 0.7Km, 덕유삼거리 3.4Km) , 119 표지대(덕유11-03) 해발 881m, 육십령 1.2Km, 서봉 6.4Km// 어느 것이 맞는지? 이정표와 맞지 않은 것 같다. 로우프 내리막 내려섬.

 

10시12분 가야 할 할미봉 조망

 

 

 

10시15분 900봉 능선마루, 헬기장 이후 로우프 가이드 내리막 내려섬.

가야 할 할미봉 능선,

 

10시18분 오르막 능선을 오르는 대원들

 

 

 

 

10시22분 119 표지대(덕유11-04) 해발 913m, 육십령 1.7Km, 서봉 5.9Km, 암능 사이 로우프 지대 오름,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지나온 능선.

 

10시25분 할미봉을 향한 암능 오르막은 계속되고

 

 

10시27분 할미봉을 향한 암능 오르막, 능선 좌측 장수군 마을 조망.

 

 

 

10시29분 할미봉을 오르며,, 능선 주위 암능들

 

10시31분 가야 할 서봉과 남덕유산

 

 

 

 

 

 

 

10시32분 할미봉(1026.4m) 도착, 정상석과 삼각점(함양 304, 2002 복구), 조망안내판, 이정표(서봉 정상 4.8Km)가 있고 조망이 사방으로 확 트인다.

10시34분 사진 촬영 후 출발

 

 

 

 

 

 

10시35분 반송마을 갈림길 이정표(육십령 3.27Km, 할미봉 0.07Km, 반송마을 1.93Km, 대포바위 0.43Km)와 대포바위(남근석) 안내판이 있고 우측 대간길은 나무 계단 이후 로우프 급경사 내리막이 나온다.

 

10시41분 긴 암능 로우프 지대 내리막을 내려선다.

 

10시42분 119 표지대(덕유11-05) 해발 946m, 육십령 2.4Km, 서봉 5.3Km, 통과

 

 

 

 

10시43분 암능 좌측 로우프를 잡고 올라, 암능에서 할미봉 이후 지나온 암능 내리막을 바라보고, 가야 할 남덕유산 구간 조망.

 

10시51분 119 표지대(덕유11-06) 해발 908m, 육십령 2.9Km, 서봉 4.7Km, 통과

 

10시53분 능선을 따르며 가야 할 서봉 조망.

 

10시56분 119 표지대(덕유11-07) 해발 889m, 육십령 3.4Km, 서봉 4.2Km, 통과

 

 

11시00분 능선마루 이정표(할미봉 정상 1.3Km, 육십령 3.5Km, 덕유삼거리 1.4Km, 서봉 정상 3.5Km), 이 곳이 육십령과 서봉의 중간 지점.. 가야 할 서봉과 남덕유산 조망.

 

 

 

11시05분 능선 우측 덕유 교육원과 마을 조망 후 119 표지대(덕유11-08) 해발 896m, 육십령 3.7Km, 서봉 3.9Km, 통과 오르막 오름.

 

 

 

 

11시07분 삼자봉(905봉), 우측 경상남도 덕유 교육원, 직진 대간 길. 이정표(삼자봉 955m, 할미봉 정상 1.8Km, 육십령 4.0Km, 덕유 삼거리 0.9Km, 서봉 정상 3.0Km) 이정표 고도가 맞지 않는 것 같다... 905봉이 맞는 것 같음. 내리락 후 완만한 능선을 오르내리며 간다.

 

11시12분 119 표지대(덕유11-09) 해발 900m, 육십령 4.5Km, 서봉 3.1Km

 

11시19분 119 표지대(덕유11-10) 해발 954m, 육십령 5.0Km, 서봉 2.6Km

 

 

 

11시21분 덕유 삼거리 이정표(육십령 5.2Km, 남덕유산 3.6Km), 우측 교육원 방향은 탐방로 아님으로 통제하여 놓았다. 산죽길을 따라 직진하며 대간 길 진행. 여기까지 오는 동안 만나는 산행객이 없다. 그 동안 입산 통제를 해 놓았던 탓일까??

 

11시23분 본격적인 오르막이 시작되는 능선에 도근점인가? 를 지나고 빠져 있는 도근점 표석도 확인하며 한걸음 한걸음 오르막 오름.

 

11시28분 오르막 능선에서 뒤 돌아 본 지나온 대간 길

 

 

 

11시30분 헬기장, 1065봉 능선마루,, 헬기장 표지 사이 할미꽃이 피어 있다. 계속되는 오르막

 

11시34분 119 표지대(덕유11-11) 해발 1090m, 육십령 5.5Km, 서봉 2.1Km

 

11시38분 과일껍질을 버리지 맙시다. 팻말이 있는 우회로 갈림길에서 좌측 오르막 오름.

 

 

11시41분 1170봉 능선마루. 내리막을 내려 섬.

 

 

11시42분 우회로와 만나는 안부. 오르막 거칠게 오르며 내려오는 산행객 만남.

 

11시48분 서봉 능선과 남덕유산 조망

 

11시49분 좌측 우회로가 있는 능선마루

 

 

 

 

 

 

 

11시51분 암봉, 119 표지대(덕유11-12) 해발 1231m, 서봉 1.6Km 육십령 6.0Km 가야 할 서봉, 남덕유산, 우측 교육원과 마을 조망하고 좌측 암능 내리막 로우프 잡고 조심하여 내려섬. 이 암봉 고도는 1260m 이 맞는 것 같음.

 

12시03분 점점 가까워지는 서봉 주위 암능.

 

12시05분 119 표지대(덕유11-13) 해발 1292m, 육십령 6.6Km, 서봉 1.0Km

 

12시08분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지나온 대간 길, 오르막 능선은 벌써 더위가 느껴지지만 걸을만 하다.

 

 

 

12시12분 능선 좌측 암능을 바라보며, 이정표(남덕유산 2.0Km, 육십령 6.8Km)

 

진달래와 지나 온 대간 길

 

 

진달래와 지나 온 대간 길

 

가야 할 대간 길

 

 

 

 

12시14분 서봉을 향한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대간 길, 우측 교육원과 마을, 진달래핀 대간길, 가야 할 대간 길, 우측 암능. 지나 온 대간 길을 카메라에 담으며

 

 

12시20분 119 표지대(덕유11-14) 해발 1392m, 육십령 7.1Km, 서봉 0.5Km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

 

 

 

 

12시27분 1465봉 능선마루, 우측 바위 전망대에서 바라 본 조망.

 

 

 

12시30분 오르막을 오르며 정상에 선 선두 대원들을 본다.

 

 

12시31분 암능 뒤 돌탑과 이정표(남덕유산 1.5Km, 육십령 7.5Km), 암능 좌측 오르막 오름

 

 

 

 

 

12시32분 남덕유산 서봉(1492m)도착, 장수 덕유산이다. 정상 안내판과 119 표지대(덕유11-15) 해발 1492m, 육십령 7.5Km, 남덕유산 1.2Km, 사진 촬영 후 헬기장 방향 진행.

 

 

 

 

 

 

 

 

12시35분 헬기장, 구조요청 위치번호 1015와 헬기장 표시외는 아무런 표시가 없다. 점심식사를 한다.

 

 

12시58분 출발. 나무 계단 이 후 급경사 쇠계단을 내려선다.

 

13시07분 119 표지대(덕유11-16) 해발 1352m, 서봉 0.4Km, 남덕유산 0.8Km,

 

13시08분 내리막을 한참 내려온 후 오르락

 

13시09분 오르막 오르며 지나온 헬기장 후 쇠계단 조망

13시13분 능선마루 이후 내리락 후 다시 오르락 내리락.

 

13시16분 안부에서 남덕유산을 향한 본격적 오르막 시작

 

 

13시21분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지나온 대간 길

 

 

가야 할 대간 길

 

 

 

 

13시27분 대간 길과 남덕유산 정상 갈림길, 넓은 공터에 거창군 극서점 과 이정표(남덕유산 0.1Km, 삿갓골재대피소 4.2Km)가 있다. 이 곳에는 타 산악회팀들이 모여 점심식사를 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직진, 정상을 향한다.

 

 

 

 

 

 

 

 

 

 

13시30분 남덕유산 정상 도착, 이 곳에는 119 표지대(덕유01-47) 해발 1507m, 영각공원지킴터 3.4Km, 월성치 1.4Km와 이정표(영각공원지킴터 3.4Km, 향적봉대피소 15Km), 정상석(남덕유산 1507m)가 있고 영각사 방향 산행로 계단 시설, 지나온 서봉 방향, 가야 할 삿갓봉 방향, 덕유 교육원과 마을을 조망한다.

B팀 대원이 여유있는 시간을 가지고 있는 것을 발견!!!!

13시36분 출발, 올라 왔던 길로 돌아 내려간다.

 

 

 

 

13시39분 가야 할 삿갓봉 방향 조망, 거창군 극서점 과 이정표(남덕유산 0.1Km, 삿갓골재대피소 4.2Km)가 있는 갈림길로 돌아 내려와 우측 대간길로 내리막 내려섬.

 

13시45분 내리막 능선 좌측 지나온 서봉 계단길 조망

 

 

 

 

13시46분 안부 이정표(육십령 8.5Km, 남덕유산 0.3Km, 삿갓재(대피소) 4.0Km)와 119 표지대(덕유01-46) 해발 1380m, 남덕유산 0.3Km, 월성치 1.1Km, 작은 돌로 쉼터를 만들어 놓은 곳 통과하며 지나온 정상 갈림길 방향 조망

 

 

13시51분 쇠줄 가이드 오르막 능선에서 지나온 정상 방향 조망,

 

 

13시59분 119 표지대(덕유01-45) 해발 1290m, 남덕유산 0.9Km, 월성치 0.5Km, 와 안테나 통과

 

14시00분 능선 우측 황점 마을 조망

 

14시01분 이정표(남덕유산 1.0Km, 동엽령 9.5Km) 이후 월성치로 향한 긴 내리막을 내려선다.

 

 

 

 

 

 

14시09분 월성치 도착, 덕유산 국립 공원 안내도, 이정표(남덕유산 1.4Km, 삿갓재(대피소) 2.9Km, 황점마을 3.8Km)와 119 표지대(덕유01-44) 해발 1214m, 남덕유산 0.3Km, 삿갓재(대피소) 2.9Km 를 확인, 직진하며 오르막 진행.

 

 

 

 

 

14시13분 1245봉 능선마루, 가야 할 대간 길과 지나 온 대간 길, 능선 우측 황점 마을 조망

 

 

14시18분 119 표지대(덕유01-43) 해발 1195m, 월성치 0.4Km, 삿갓재 대피소 2.5Km, 가야 할 대간 길

 

 

14시23분 이정표(남덕유산 2.2Km, 동엽령 8.3Km), 산죽 오르막

 

14시25분 대간 길 주위는 커다란 암능들이 연이어 나오고 산행로는 계속 오르 내리막이 나오는 길 따름. 날씨는 산행에 큰 지장이 없어 다행이다.

 

 

 

14시28분 커다란 암봉 좌측 사면길 진행.

 

 

14시32분 119 표지대(덕유01-42) 해발 1327m, 월성치 0.9Km, 삿갓재 대피소 2.0Km, 쇠줄 가이드 통과,

 

 

 

14시36분 계속 암능을 끼고 오르 내리락을 이어간다. 가야 할 대간 길.

 

 

 

 

능선에서 휴식 중인 대원들

 

14시39분 이정표(삿갓재(대피소) 2.0Km, 영각공원지킴터 5.7Km, 남덕유산 2.3Km), 오르막 능선과 주위 암능

 

가야 할 대간 길

 

지나온 대간 길

 

지나온 대간 길

 

쉼터

 

14시45분 가야 할 대간길 과 지나온 대간 길

 

14시46분 쇠줄 가이드 오르막 오름

 

1335봉 능선마루

 

지나 온 암능 뒤로 이어지는 대간 길

 

 

 

 

 

 

14시47분 1335봉 능선마루, 지나 온 암능 뒤로 이어지는 대간길, 지나온 대간길, 우측 마을 조망

14시49분 출발.

 

14시52분 이정표(남덕유산 3.0Km, 월성재 1.6Km, 무룡산 3.4Km), 무룡산이 가까워지는 것을 느낀다....

 

14시55분 119 표지대(덕유01-41) 해발 1327m, 월성치 1.5Km, 삿갓재 대피소 1.4Km

 

14시57분 1360봉 능선마루, 삿갓봉 직전 능선마루이다.

 

15시00분 쇠줄 가이드 내리막

 

 

15시03분 삿갓봉 갈림길, 좌측 삿갓봉 우회로다. 이정표(삿갓봉 0.3Km, 월성치 1.9m, 삿갓재 대피소 1.0Km), 우측 정상을 향한 오르막 진행.

 

 

 

 

 

 

 

 

 

15시08분 삿갓봉(1418.6m) 도착, 정상석(삿갓봉 1418.6m)외는 아무 것도 없다. 황점 마을로 이어지는 조망이 확 트이고 다음 구간 가야 할 무룡산이 조망된다. 물 한모금 마시면서 사진 촬영 및 휴식.

15시18분 출발, 여기까지 이어진 대간 길은 고도가 높아서인지 오르 내리락의 편차가 심하여 거리보다 힘이 든다는 것을 느낀다. 이제 내리막 구간만 진행하면 된다.

 

 

15시21분 삿갓봉 우회로와 만나는 지점 안내 팻말(삿갓봉 0.3Km, 삿갓재 대피소 0.9Km), 직진하며 대피소 방향 진행

 

15시22분 119 표지대(덕유01-40) 해발 1360m, 월성치 2.1Km, 삿갓재 대피소 0.8Km

 

 

15시23분 능선 좌측 나무가 어지럽게 자라 있다.

 

15시24분 다음 구간 가야 할 무룡산 구간 조망

 

15시25분 이정표(무룡산 2.6Km, 월성재 2.4m, 남덕유산 3.8Km),

 

 

 

15시28분 황점마을과 그 뒤로 이어지는 산군, 가야 할 무룡산 능선 조망.

 

 

 

15시30분 마치 하얀색을 입힌 듯한 바위 지대 및 쇠파이프 가이드 내리막 통과

 

 

15시32분 커다란 바위, 능선 좌측 지형도상 양악저수지 조망

 

 

 

 

15시33분 119 표지대(덕유01-39) 해발 1272m, 월성치 2.6Km, 삿갓 대피소 0.3Km 와 주위는 바위지대, 자갈 길 내리막

 

 

 

15시37분 삿갓재 대피소가 보이기 시작

 

 

 

 

 

 

15시39분 삿갓재 대피소 도착, 백두대간 산행 종료, 이 곳에는 이정표(황점 4.2Km, 참샘 0.06Km, 남덕유산 4.3Km, 향적봉 10.5Km), 덕유산 국립공원 안내도, 긴의자와 테이블이 있는 쉼터와 대피소, 화장실과 시설물이 있다. 막걸리 한잔하며 휴식.

 

15시45분 황점 마을로 향하여 우측 나무 계단으로 내려서며 삿갓골로 탈출....

 

 

15시48분 파란 물통 사이 호스를 끼워 만들어 놓은 참샘... 물은 시원하다.

 

15시51분 이정표(삿갓골재대피소 0.1Km, 황점마을 4.1Km), 긴 내리막이다.

 

15시59분 119 표지대(덕유06-06) 해발 1085m, 황점마을 3.8Km, 삿갓 대피소 0.4Km

 

16시01분 이정표(삿갓골재대피소 0.5Km, 황점마을 3.7Km)

 

16시04분 나무계단 내리막

 

 

16시08분 계곡을 건너는 다리, 계곡이 나온다.

 

 

 

16시10분 119 표지대(덕유06-05) 해발 963m, 황점마을 3.2Km, 삿갓 대피소 1.0Km 와 다리, 계곡

 

 

16시13분 계곡이 점점 깊어지며 내리막의 지루함을 달래 준다.

 

16시21분 119 표지대(덕유06-04) 해발 865m, 황점마을 2.3Km, 삿갓 대피소 1.9Km

 

16시23분 좌측 커다란 바위와 낙석 주의 팻말이 나온다.

 

 

 

 

16시24분 바람에 쓰러진 나무, 좌측 커다란 바위와 낙석 주의 팻말

 

 

 

16시30분 계곡

 

 

 

16시31분 이정표(삿갓골재대피소 2.5Km, 황점마을 1.7Km), 119 표지대(덕유06-03) 해발 786m, 황점 1.7Km, 삿갓 대피소 2.5Km , 다리

 

 

 

16시33분 다리와 계곡

 

 

 

16시37분 계속 이어져 나오는 다리와 깊은 계곡

 

16시42분 119 표지대(덕유06-02) 해발 703m, 황점마을 1.2Km, 삿갓 대피소 3.0Km

 

 

 

 

16시45분 계속 이어져 나오는 맑고 깨끗한 깊은 계곡 이후 낙엽송.. 이 곳 계곡은 이야기 듣기는 하였으나 상당히 깊고 물이 맑았다.

 

 

 

16시47분 등산 안내도

 

 

 

 

 

 

16시50분 이정표(삿갓골재대피소 3.6Km, 황점마을 0.6Km), 119 표지대(덕유06-01) 해발 638m, 황점 0.6Km, 삿갓 대피소 3.6Km 와 시멘트 임도가 나온다. 우측 황점 마을 방향 진행.

 

 

 

 

 

16시54분 시멘트 임도 좌측 낙엽송과 우측 마을

 

 

16시57분 마을과 금낭화

 

 

 

 

 

 

16시59분 황점길 표지판, 이정표(삿갓골재대피소 4.2Km, 월성재 3.8Km)가 나오고 아스팔트 2차선 1082번 지방 도로 도착.

 

 

 

 

 

 

 

 

 

 

달빛고운 황점마을 안내판과 수준점, 의사 박공 삼형제 항일 사적비가 있고 다리 건너 주차장에는 화장실 건물이 이색적으로 지어져 있다.

17시04분 주차장 버스 도착하며 산행 종료.

 

 

삿갈골재에서 황점마을까지는 다음 구간 한번 더 하산을 해야 하는 길이다. 앞 전 구간 산행까지 눈 산행을 하다 모처럼 맑고 시원한 날씨속에 산행을 하였으나 일부 더위를 느낀 오르막도 있어 쉽지만은 않은 구간인 것 같다.

 

 

다음 구간 산행은 혼자서 해야 할 것 같다. 혼자서 향적봉까지 갔다 와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