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산클럽 1178차 백두 대간 2차 5구간
복성이재-봉화산-광대치-중고개재-백운산-영취산-무령고개
일자 : 2013년 02월 17일
참석 인원 : 44명
날씨 : 흐린후 눈, 비
총도상거리 : 약18.0Km
총 소요시간 : 7시간14분
복성이재(550m 09:45)~매봉(712.2m 10:05)~치재(10:10)~꼬부랑재(10:27)~봉화산(919.8m 11:03~11:07)~봉화산 쉼터(임도 11:15~11:18)~870봉(연비지맥 분기점 11:22)~944봉(12:14)~광대치(12:30)~광대치 이후 능선(12:32 점심식사 12:47)~월경산 갈림길(13:05)~월경산(981.9m 13:18)~월경산 갈림길(13:24)~중치(13:55)~695봉(14:01)~755.3봉(14:24)~중고개재(14:26)~875봉(이정표 14:44)~바위전망대(15:09)~백운산(1278.9m 15:37~15:42)~암봉(15:59)~백운산과 영취산 중간 지점(16:10)~1066봉(16:29)~영취산(1075.6m 16:44~16:47)~무령고개(16:59)
지난 구간 날머리
오후 늦게 비, 또는 눈이 온다는 예보속에 4번째 백두대간을 이어간다. 버스는 막힘없이 달려 09시38분 복성이재 도착, 며칠전 눈이 내렸는지 하얗게 눈이 쌓인 곳들이 보인다.
산행준비 및 인원 점검, 상견례를 마치고
09시45분 출발, 이정표와 좌측 고도가 맞지 않는 안내판 지나. 묘를 지나 오르막 오름.
복성이재(福星峙, 해발 601.4m)
전북 남원시 아영면과 장수군 번암면의 경계를 이루는 백두대간의 고개로서, 산줄기는 시리봉과 봉화산을 잇고, 물줄기는 낙동강과 섬진강의 분수령이다. 임진왜란(1592년)이 일어나기 전 변도탄이 천기를 보고 국가에 큰 전란이 일어날 것을 예측하고, 대비 할 것을 상소하였으나 평화로운 기운을 어지럽게 한다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나서 전란을 대비 북두칠성 중에 복성 별빛이 멈춘 곳에 자리를 잡아 움막을 지었다 하여 복성이재라 전해진다.
그 후 쌀가루로 만든 움막은 군량미로 사용하여 왜적을 물리치는데 큰도움이 되었으며, 조정에서 변도탄의 충성심을 인정해서 큰상을 내리자, 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모여서 복성이마을을 이뤘다고 한다.
복성이재의 남쪽에는 삼국시대에 백제와 신라가 서로 영토 쟁탈전을 벌였던 아막산성(전북지방기념물 제38호)이 있다.
서부지방산림청
09시50분 목장 철망을 만나고,, 오르막 오르며, 좌측 목장 옆으로 이어지는 아스팔트 도로 조망.
09시55분 오르막 좌측 고남산과 지나온 대간 길 조망
10시00분 지나온 대간 길 조망
10시02분 철망 표지기
10시05분 좌측 철망 끝나면서 산불감시용 무인카메라와 정상석(봉화산 출쭉군락지, 백두대간 매봉, 해발 712.2m), 전망대 덱크가 있는 조망이 사방으로 확트이는 매봉 정상에 올라선다. 봉화산 안내판, 봉화산 정상 3.3Km 땅에 떨어진 이정표 확인, 좌측 진행
10시09분 나무 계단, 건너편 정자 바라보며 내려섬.
10시10분 이정표(전망대 0.2Km, 봉화산 정상 3.0Km, 아영 0.1Km, 주차장 0.5Km), 나무 덱그와 좌, 우 사거리가 뚜렷하고 쉼터 정자가 있는 치재 통과, 뒤를 돌아 매봉을 바라본다.
이후 새 이정표(전망대 0.2Km, 봉화산 정상 3.0Km, 주차장 0.1Km)를 지나며 마을 조망
10시17분 능선 좌측 한국수자원 공사 저수지 조망
능선을 따르는 대원들
10시19분 695봉 능선마루 우측 사면 통과, 눈이 내린 곳은 간간히 미끄러운 곳이 있어 조심. 봉화산 정상을 향한 오름길 계속 이어져 나옴.
10시27분 뚜렷한 사거리인 지형도상 꼬부랑재
10시32분 오르막을 오르며 능선 우측 지리산 주능선 조망, 천왕봉에서 반야봉, 노고단 능선이 하얀 색깔을 하고 있는 모습 조망. 완만하게 이어지던 오름길은 가파르게 이어져 올라섬.
10시37분 775봉 능선마루
10시45분 795봉 능선마루를 지나며 잠시 완만 오르막후 가파르게 오르막 오름.
10시50분 글자가 희미해진 이정표(봉화산, 복성이재)가 있는 865봉 능선마루, 조망이 트인다. 지리산 능선과 봉화산 정상 조망
10시56분 분기봉 같은 능선마루에서 우측 진행
11시00분 봉화산 정상 직전, 서서히 구름에 덮히는 지리산 주능선,
11시03분 돌로 쌓은 봉화대 와 안내판, 삼각점(함양 23, 1988 재설), 백두대간 안내판, 정상석(봉화산, 해발 919.8m, 백두대간 지도), 산불감시카메라, 전망 덱크가 있는 봉화산 정상 도착, 지리산 능선의 산군과 금남, 호남의 능선, 사방이 탁트인 조망 및 기념 사진 촬영.
11시07분 출발
11시10분 내리막을 내려서 안부 좌, 우로 임도 확인
11시12분 억새 능선 완만 오르며 좌측 임도, 우측 구름이 덮히는 지리산 천왕봉 능선 조망
11시15분 나무 계단 내려서자 봉화산 쉼터, 장수군 번암면 동화리와 남원시 아영면 일대리를 연결하는 차단기가 있는 시멘트 임도 고갯마루, 이정표(봉화산쉼터, 광대치 3.2Km, 봉화산 0.7Km, 장수 6.9Km, 임도삼거리 1.1Km), 봉화정과 전망 안내도, 봉화산 종합 등산 안내도 확인, 3분후 나무 계단을 올라 광대치 방향 진행.
11시20분 억새 능선 통과후 오르막 오름
11시22분 지형도상 분기봉인 870봉 도착, 준,희님의 연비지맥 분기점 팻말과 낙동 산악회의 백운산↔연비산 팻말이 땅에 떨어져 있고 무명봉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이곳은 전북 장수군 번암면, 남원시 아영면 그리고 경남 함양군 백전면이 만나는 분기점이다.
지금까지 전북 장수군과 남원시의 경계를 이루던 산줄기는 이제부터 능선 우측 경남 함양군과 좌측 전북 장수군의 경계선을 따른다.
11시24분 묘1기 통과, 능선 우측 함양군 백전면 방향 조망, 능선은 암능과 오르 내림이 계속 나온다.
11시30분 바위위의 소나무
11시38분 930봉 능선 마루를 오르며 뒤를 돌아 본 조망, 연비 지맥 뒤로 이어지는 지리산 천왕봉이 차츰 멀어진다.
11시39분 930봉 능선마루, 이후 커다란 암능 통과
11시44분 색깔이 바래진 능선 이정표(봉화산 2.5Km, 백운산 10Km), 내리막 능선은 결빙 위에 며칠 전 눈이 내려 있어 아이젠 착용.
11시46분 암능 내리막 내려서며, 가야 할 대간 길 조망
11시50분 우회하세요, 훼손 등산로 복원중 팻말 나오기 시작
11시52분 훼손 등산로 복원중 팻말
11시53분 우측 갈림길, 계속 직진, 이후 거칠게 이어지는 내리막 능선
11시59분 암능 내리막, 조심하여 내려 섬. 훼손된 로우프 가이드..
12시01분 눈이 몇겹이나 쌓여 있는 안부, 오르막
12시09분 930봉 능선마루
12시11분 눈 쌓인 940봉 능선마루, 이후 내리락, 오르락
12시14분 지형도상 944봉, 우회하세요 훼손등산로 복원중 팻말과 이정표(중치 4.1Km, 봉화산 3.8Km), 많은 표지기가 매달려 있다.
우측으로 급선회하여 우회길로 급하게 내려선다. 내리막길은 미끄러워 조심스럽다.
12시18분 암능 내리막길, 이 구간은 설치되어 있는 로우프 모두 훼손되어 사용 불가...
12시20분 안부, 이후 오르락 내리락 오르락후 광대치로 향한 내리막.
12시30분 지형도상 광대치, 이정표(광대치, 중치 3.2Km, 봉화산 4.7Km), 우측 뚜렷한 갈림길, 1차 구간 탈출 및 접근 지역.. 직진하여 나무 계단 오르막 오름.
12시32분 오르막 능선 낙엽 쌓인 곳에서 점심 식사
12시47분 후미를 만나면서 출발, 월경산을 향한 오르막 계속,
13시00분 이정표(약초시범단지, 중치 2.6Km, 봉화산 5.3Km)와 많은 표지기가 매달려 있는 철망 만남. 좌측 진행, 잠시 완만하던 능선은 월경산을 향한 오르막 계속 이어짐.
점심식사 중인 대우 버스팀들
13시03분 철망이 끝나고 좌측 숲길 오름, 월경산 조망하며 955봉 능선마루 우측 사면 통과
13시05분 960봉 능선 마루
13시13분 월경산 갈림길 이정표(월경산, 중치 1.9Km, 봉화산 6.0Km), 우측 월경산 정상으로 향한다.
13시18분 가파른 오르막 오르니 넓은 공터의 정상에는 다른 표식은 없고 나무에 매달아 놓은 준,희님의 백두대간 월경산 981.9m 팻말과 많은 표지기가 있다.
가야 할 백운산을 바라보며 왔던 길로 내려선다.
13시24분 월경산 갈림길, 우측 진행,
13시26분 월경산 갈림길 능선 중기 민텔(011-578-0949) 깃발, 좌측 암봉을 우회하여 미끄러운 사면 진행.
13시28분 가야 할 백운산 조망하며 내리락, 오르막
13시34분 눈 쌓인 895봉 능선마루, 우회하세요 훼손등산로 복원중 팻말에서 좌측으로 우회하여 내려섬.
13시39분 안부 이후 오르막
13시47분 능선 마루 우측 사면 진행
13시52분 우측 잣나무가 나오는 능선 갈림길, 우측 잣나무 숲 내려섬.
13시55분 지형도상 중치 도착. 이정표(중치, 해발 650m, 백운산 4.6Km, 복성이재 12.1Km), 좌 우측 뚜렷한 임도같은 넓은 길이 있고 중기 민텔(011-578-0949) 깃발, 비포장 도로로 RV 차량 통행 가능할 것 같음.
14시01분 직진하여 오르막, 지형도상 695봉 능선마루, 긴의자 2개.
14시03분 사거리재, 묘1기후 완만 오름. 우측 중기 마을로 내려가는 임도
14시09분 능선 우측 중기 마을 연결 도로 조망하며 오르락, 내리락, 오르락
14시16분 능선 갈림길 우측 완만 오르막 진행.
14시17분 능선 좌측 번암면 지지리 도로 조망, 능선마루 쉼터 긴 의자 2개 있고 우측 묘지. 우측 도로 조망.
14시23분 능선 좌측 번암면 지지리 도로에 B 팀 대기중인 버스 조망
14시24분 지형도상 755.3봉 능선마루, 우측 내리막 내려섬. 이곳에 삼각점이 있다고 하나 확인하지 못하고 내려섬.
14시26분 지형도상 중고개재 도착, 이정표(중고개재)가 있으나 글자는 바래져 없고 누군가 매직으로 중치, 백운산→육십령을 적어 놓음. 좌, 우 길은 차량 통행 불가한 작은 길. 직진하며 백운산향....
이제부터 본격적인 백운산 정상을 향한 오르막이다.
14시31분 중기 민텔(011-578-0949) 팻말, 된비알을 오른다.
14시44분 글자는 바래져 없고 누군가 매직으로 백두대간, 중고개재, 백운산→육십령을 적어 놓은 이정표가 있는 875봉 능선마루. 계속 백운산을 향한 된비알.
15시00분 고도를 차츰 높여가니 주위는 간간이 암능 나오기 시작.
15시07분 로우프 가이드 오르막
15시09분 1,095봉 능선마루 바위 전망대, 하얗게 눈이 쌓여 있는 지나온 대간 길을 뒤에 두고 사진 촬영. 눈이 내리기 시작, 주위는 안개가 몰려오며 조망이 흐려진다.
15시13분 이정표(백두대간, 중재 1.7Km, 백운산 0.8Km),
15시20분 암능 오르막 능선과 암능 사이를 오르는 대원들
15시25분 잠시 완만 능선 우측 생태계 복원중 팻말 능선
15시27분 능선 우측 샛길 생태계 복원차 출입금지 빨간 줄 확인
15시28분 암능이 나오며 다시 오르막, 주위의 시야는 안개에 가리기 시작. 눈은 계속 내리고 있음.
15시29분 나무 계단 오름.
15시31분 능선 우측 암능 위 소나무, 계속되는 오르막
15시35분 이정표(수고하셨습니다, 백두대간(중재), 백운산 정상, 하산길), 하산길 방향 묘 2기, 이 높은 곳에 묘지가 있다. 우측 하산길 방향 표지기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고, 좌측 진행.
15시37분 눈쌓인 능선을 따라가다 커다란 정상석이 있는 헬기장 같은 공터의 정상 도착, 이 곳에는 서부지방산림청에서 세운 커다란 정상석(백운산 1278.9m 동경 127도 37분 39초, 북위 35도 36분39초, 뒷면 안내글)과 백운산 조망 안내판, 좌측 119 표지대(백운산 정상, 함양 백운산 1-2)와 의약품 상자가 있고 그 윗편에 작은 정상석(白雲山)과 이정표(수고하셨습니다, 백두대간(깃대봉), 하산길(상연대), 하산길(백운암, 천통재))와 삼각점(함양 308, 1988 재설)이 오랜 세월을 느낄 수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주위의 조망은 그야말로 얼마되지 않은 시간에 꼭꼭 숨어 버렸다.
15시42분 사진 촬영 후 좌측 육십령을 향해 내려서며 출발
15시48분 암봉 우측 우회,
15시52분 본격적 산죽 능선 나오기 시작
15시56분 우뚝 솟은 가야 할 암봉 모습
15시58분 암봉을 향한 로우프 가이드 오르막
암봉
15시59분 지형도상 암봉, 이후 좌측 로우프 가이드길 암능 조심하여 내려섬
16시09분 로우프 가이드 오르막 다시 만남.
16시10분 백운산과 영취산의 중간 지점 1060봉 능선마루, 이정표(영취산 1.7Km, 백운산 1.7Km) 이 후 완만 오름.
16시12분 1070봉 분기봉, 눈 덮힌 능선마루 우측 갈림길 확인, 계속 직진 능선따름.
16시16분 능선을 따르다 휴식을 하고 있는 대원들
16시19분 좌측 바위위 소나무가 있는 전망대 봉우리(1065봉), 우측 사면길에서 전망없어 사면길 진행. 전망 좋은 곳 표지판 확인
16시24분 생태계 복원중 팻말이 나오는 능선 따름.
16시29분 지형도상 1066봉 능선마루, 헬기장 같은 공터, 긴의자 3개,
16시35분 이정표(선바위 고개, 해발 1040m, 무령고개 0.7Km, 영취산 0.4Km, 백운산 3.2Km)가 있는 안부, 직진하여 영취산을 향해 산죽 사잇길 오르막 오름. 좌측은 무령고개향 사면 길.
16시42분 1050봉 능선마루 지나며 완만 능선 따름.
16시44분 돌탑, 돌계단 지나 영취산 도착. 커다란 정상석(영취산 1075.6m, 위치표시) 뒷면 안내글) 이정표(영취산 해발 1076m, 육십령 11.8Km, 중치 8.2Km)가 있고 가야 할 육십령 방향에 표지기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이 곳은 금남호남정맥의 분기점인 지형도상 1075.6봉, 대간과의 합류점이다. 삼각점(함양 309, 2002 복구)
16시47분 사진촬영 후 좌측 무령고개를 향하여 가파른 내리막을 내려서며 출발.
16시53분 계단이 나오며 쉼터, 샘터 0.3Km 안내 팻말 확인,
16시57분 나무가 아닌 쿳션이 있는 계단 내려섬.
16시59분 2차선 아스팔트 도로와 좌측 동물 이동 통로가 있는 무령 고개 도착, 산행 종료, B팀 대기 지점에 있던 버스가 아직 도착되지 않았고 쉼터는 문을 닫아 있어, 정자에서 눈을 피하며 버스를 기다리지만 추위가 예사롭지 않다.
무령고개는 영취산 안내판과 장안산 안내판, 화장실, 정자, 간이매점, 주차장 이 있고 금남호남 정맥 들머리에는 계단을 만들어 놓았고 좌측 이동통로 터널이 있다.
4차구간까지 이어지는 대간길은 3차구간까지는 겨울철 산행으로는 날씨가 좋아 큰 어려움 없이 진행하였으나 4차 구간은 봉화산 이후 대간길 내내 눈과 결빙 구간이 있었고 오후 3시경부터 눈이 내리고 시야가 가려져 후미가 약간의 어려움을 겪는 산행이었으나 아무런 사고없이 무령고개까지 대간길을 이어 놓는다.
이제부터 남은 구간까지 백두 회원들과도 좋은 인연의 백두대간 종주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 본다.
'2차 백두대간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백두대간 7구간(9차)(육십령-할미봉-서봉-남덕유산-삿갓봉-삿갓골재-황점마을) (0) | 2013.03.19 |
---|---|
백두 대간 2차 6구간(무령고개-영취산-북바위-민령-구시봉-육십령) (0) | 2013.03.05 |
백두대간 2차 4구간(여원재-고남산-매요마을-사치재-새맥이재-복성이재) (0) | 2013.02.06 |
백두대간 2차 3구간(성삼재-작은고리봉-만복대-고리봉-수정봉-여원재) (0) | 2013.01.22 |
백두대간 2차 2구간 (0) | 201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