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산클럽 1176차 백두대간 2차 3구간
성삼재-작은고리봉-만복대-고리봉-수정봉-여원재
일자 : 2013년 01월 20일
참석 인원 : 49명
날씨 : 맑고 포근함
총도상거리 : 약18Km
총 소요시간 : 6시간50분
성삼재(10:30)~고리봉(1,248.0m 10:59)~묘봉치(11:29~11:32)~만복대 (1438.4m 12:10~12:13)~국립공원특별 보호구 안내판(12:27 점심식사 12:47)~정령치(737번 지방도13:10~13:16)~고리봉(1305M 13:33~13:35)~고기삼거리 (60번 지방도 14:25)~노치샘(14:56)~노치마을 뒤 소나무(14:58~15:03)~수정봉(804.7m 15:43~15:49)~입망치(16:08)~685봉(16:30~16:37)~여원재(24번국도 17:20)
한등 2차 백두대간 2구간(성삼재~세석갈림길)은 내년도 무박 산행 일정으로 미루고 3구간을 당일 산행으로 이어 간다.
날씨가 1구간과 같이 포근하고 따뜻하여 지리산 구간을 쉽게 지나가는 것 같아 2차 백두대간 산행이 잘 될 것 같은 느낌이다. 49명의 대원이 참석하여 막힘없이 버스는 남해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를 지나 뱀사골에서 성삼재를 오르는 도로를 따라 가는데 간간히 눈으로 덮혀 있는 곳도 있다.
10시17분 성삼재 도착, 오랜만에 와 보니 새롭게 담장하여 놓은 휴게소가 보인다. 겨울이라 그런지 성삼재는 한가하게 차량이 얼마 없다. 주위의 풍광을 카메라에 담는다.
산행 준비를 아이젠만 착용하고 스페츠는 착용하지 않고, 인원 점검, 상견례를 멋지게 하고 출발....
10:30 성삼재 출발, 뱀사골 방향 도로를 따른다.
10:34 아스팔 포장도로에서 좌측 이정표(만복대 5.3Km, 당동마을 3.0Km, 상위마을 6.1Km)가 있는 철 담장 사이로 숲길 진입.
10시36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11), 만복대 4.9Km 가 있는 눈길,(헬기장 같은 곳?) 작은 고리봉 조망 눈길과 눈이 녹아 있는 길은 걸을만 하다.
10시37분 당동마을 갈림길 이정표(당동마을 2.5Km, 성삼재 0.5Km, 만복대 4.8Km, 상위마을 5.6Km), 119 구조 표지대(지남 29-05), 표지석이 있고 좌측 당동마을 갈림길 확인.
10시44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10), 포근한 날씨속 부드러운 눈길
10시45분 이정표(성삼재 1.0Km, 만복대 4.3Km, 상위마을 5.1Km)
10시54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9)
10시58분 고리봉 직전 오르막에서 뒤돌아 본 성삼재와 노고단
가야할 만복대 조망
천왕봉 방향 조망
10시59분 고리봉(1,248.0m); 작은 정상석이 있는 작은 고리봉, 사진 촬영하고 출발, 내리막을 가파르게 내려서자 완만하여 진다.
11시08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8)
11시10분 이정표(성삼재 2.0Km, 만복대 3.3Km, 상위마을 4.1Km), 가야 할 만복대 방향 과 우측 반야봉 조망
11시14분 만복대가 점점 가까워짐.
11시16분 능선을 따르는 대원들과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7)
11시19분 가야 할 만복대와 우측 반야봉, 천왕봉 방향 조망하며 진행
11시21분 눈길 내리막을 내려서는 대원들
11시27분 이정표(성삼재 3.0Km, 만복대 2.3Km)
11시29분 묘봉치, 헬기장은 눈이 덮혀 넓은 공터 같이 보인다.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6)와 이정표(성삼재 3.1Km, 만복대 2.2Km, 상위마을 3.0Km), 상위 마을 방향에서 많은 산행객들이 올라오고 있다.
11시32분 사진 촬영 후 출발. 만복대를 향한 오르막의 연속이다. 산행객들이 밀려 진행이 늦어진다.
11시35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5)
11시37분 헬기장
11시45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4)
11시47분 이정표(성삼재 4.0km, 만복대 1.3km),
11시52분 만복대를 오르는 능선은 산죽 군락지가 펼쳐져 나온다. 하얀 눈으로 덮혀 있어야 할 능선이 마치 초봄 같은 느낌의 풍광이다.
11시53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3) 이 후 산죽밭 통과
11시55분 오르막 우측 공터에서 뒤를 돌아 지나 온 능선과 성삼재, 노고단 과 가야 할 만복대 사진 촬영 및 조망
12시00분 능선 좌측 바위지대 통과, 우측 사면 따름
12시03분 로우프 가이드 오르막 오름, 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2) 통과
12시08분 오르막을 오르며, 지나온 능선과 성삼재 조망
12시10분 암능 올라섬.119 구조 표지대(지남 23-01) 통과, 만복대 정상 도착. 긴 정상석(1,438.4m), 돌탑, 이정표(성삼재 5.3Km, 정령치 2.0Km)가 있다. 가야 할 고리봉 방향의 능선 조망, 천왕봉과 주능선 조망하고 우측 양지바른 곳에서 점심식사는 좀 더 가서 하기로 한다.
12시13분 좌측 로으프 가이드 방향 내리막 내려서며 출발, 능선은 부드러운 눈길이라 걷기 좋다.
내리막을 내려서며 가야 할 고리봉 능선 뒤로 이어지는 바래봉 능선 조망
12시16분 능선 좌측 커다란 바위가 나오고 계속하여 좌측 암능이 이어져 나옴.
12시18분 능선 좌측 고기 저수지 방향 조망
12시22분 119 구조 표지대(지북 20-03)
12시24분 눈 쌓인 능선 이후 완만 오르막 오름
지나온 만복대
가야 할 고리봉과 바래봉
12시27분 국립공원특별 보호구 안내판이 있는 고기 저수지가 보이는 전망대 능선 마루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12시47분 출발, 내리락 오르락 눈길 능선을 이어 간다.
12시49분 건너편 능선마루에서 바라 본 식사하는 모습, 능선은 눈길이 잘 나 있어 걷기에 좋다.
12시51분 로우프 내리막 과 암능, 앞서가는 산행객들이 길을 막아 진행이 늦어진다.
12시54분 119 구조 표지대(지북 20-02)
13시01분 119 구조 표지대(지북 20-01) 이후 눈길, 오늘 산행의 마지막 표지대,,
13시05분 내리막 능선 앞 산불감시초소
13시06분 안부 벌목지대
13시08분 능선 좌측 산불감시초소 능선마루, 돌아 내려와 직진, 나무 계단 내려섬.
13시10분 737번 지방도가 지나는 정령치 도착. 차량 통제를 하고 있는지 차량이 한 대도 보이지 않는다. 표지판(뱀사골, 성삼재 ↔ 남원, 육모정), 정령치 휴게소를 배경으로 사진 촬영, 휴게소 앞에는 이글루를 만들어 놓았다.
좌측 계단으로 올라섬.
13시13분 정령치와 백두대간을 알리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고 쉼터도 있다.
“마한이 징한과 변한의 침략을 막기위해 정씨성을 가진 장군에게 성을 쌓고 지키게했다는 정령치”
13시16분 오르막 능선을 오르며 고리봉으로 향한다.
13시18분 오르막 능선 좌측 고기저수지와 가야 할 고리봉을 바라보며, 이정표(팔랑치 9.2Km, 바래봉 7.7Km, 정령치 0.2Km)
13시20분 마애불상군 갈림길 이정표(마애불상군 0.3Km, 개령암지 0.2Km, 고리봉 0.5Km, 바래봉 9.1Km, 정령치 0.3Km), 좌측 오름.
13시22분 나무계단 오름. 좌측으로 남원, 육모정으로 가는 도로와 고기저수지는 하얀 눈으로 덮혀 있다.
13시25분 능선 우측 천왕봉 조망하며 돌탑, 암능 통과
13시31분 능선 우측 천왕봉과 주능선 조망
13시33분 고리봉 삼각점(운봉 25, 1991 재설)과 이정표(고리봉(1,305m 바래봉 8.6Km, 정령치 0.8Km, 고기삼거리 3.0Km), 세걸산 과 바래봉 능선이 겨울과 봄을 보는 듯, 우측 천왕봉과 주능선, 반야봉 조망.
13시35분 좌측 급경사 내리막 내려서며 출발
13시43분 고기 저수지 조망 후 큰 바위 지대 내려섬.
13시47분 이정표(고리봉 0.5Km, 고기삼거리 2.5Km)이후 완만 능선 나옴
13시58분 능선 우측 잣나무 지대 통과
14시04분 우측 목장 지대인듯 울타리와 임도 같은 넓은 길 지대
14시05분 오르막 올라 깃대가 넘어져 있는 능선마루 넘어 다시 내려서며 오르 내리락 능선 이어져 나오고 우측 초록색 울타리가 계속 이어져 나옴.
14시08분 울타리와 헤어지며 좌측 급선회하여 내려섬.
14시09분 이정표(고리봉 1.0Km, 고기삼거리 2.0Km), 소나무 지대 통과
14시16분 좌측 묘지와 이정표(고리봉 0.5Km, 고기삼거리 2.5Km)
14시23분 나무계단 내리막 내려섬.
14시25분 이정표(운봉, 정령치, 고리봉 3.0Km), 백두대간 안내판, 수당이종우선생숭덕비, 좌측 화장실이 있고, 주촌면 표지판과 다리가 있는 고기 삼거리 도착, 60번 지방도 아스팔트 도로다. 아이젠을 풀고 물한모금 마시고 휴식을 한다. 좌측에는 B팀을 기다리은 버스 대기,,,,
14시30분 우측 도로 따라 출발.
14시32분 도로 우측 바래봉 조망
14시33분 진행 방향 수정봉 능선 조망
14시34분 도로 좌측 고촌 표지석, 고기리 산촌 생태 마을 표지판
14시36분 60번 지방도 표지판
14시44분 마을 안내판 과 덕치 버스 정류장에서 60번 지방도를 버리고 좌측 노치마을로 진행, 우측 바래봉에서 고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수정봉 능선 조망
14시45분 노치마을 표지석
14시46분 덕치보건 진료소 앞 통과, 우측 바래봉과 가야 할 수정봉을 바라보며
14시52분 노치마을 입구
14시53분 전봇대 표지기와 도로 우측 돌탑
14시54분 마을 입구 표지기와 백두대간 안내석과 백두대간 통과하는 유일한 마을 노치마을 안내석, 그 뒤로 커다란 보호수, 여기서 우측 샛길로 가도 되고 좌측 보호수 방향으로 가도 됨, 좌측 진행.
14시56분 노치샘(해발550m), 여원재 6.7Km 이정표, 우측 나무에 매달린 표지기
14시58분 숲길 계단 진입 전 바라 본 커다란 소나무 3그루, 나무 계단 오름
“喜捨名錄 노치” , 그 우측에 堂山祭典을 적은 표지석 뒤의 웅장한 소나무앞에서 노치마을, 바래봉에서 고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고기 저수지를 뒤돌아보며 휴식.
15시03분 출발, 백두대간 등산 안내도와 많은 표지기를 확인 숲길 오름.
15시08분 오르막 길 작은 돌탑, 아이젠 다시 착용
15시15분 이정표(수정봉 1.34Km, 여원재 5.7Km, 노치 0.42Km)와 대원들
15시17분 능선마루 넘어 계속되는 오르막 오름
15시22분 745봉 능선마루 이후 이정표(수정봉 1.0Km, 여원재 5.3Km, 노치 0.8Km) 계속되는 오르막,,
15시39분 790봉 암봉, 나무뿌리가 뽑혀 있는 능선마루
지나온 고리봉 구간 조망
15시43분 수정봉 도착, 커다란 정상석(백두대간 수정봉 804.7m), 안내판과 앞뒤로 좋은 글귀가 적혀 있는 이정표(수정봉 804.7m, 고리봉 7Km 165분, 여원재 4.2Km 100분)이 있다. 지나온 고리봉 구간을 돌아보며 사진 촬영을 하면서 휴식
15시49분 출발 좌측 내리막 내려섬.
15시55분 헬기장
16시02분 내리막 능선을 내려서고 있는 선두 대원들
16시08분 사거리가 뚜렷한 입망치 도착, 이정표(노치 3.0Km, 수정봉 1.3Km, 여원재 3.1Km, 운봉 엄계리 2.5Km, 이백과립리 2.3Km, 지리골 0.96Km),
16시10분 직진 방향 나무 계단 오르막 오르자 전주이씨 묘1기 지나 완만 오르막 숲길 진행
16시13분 표지기
16시14분 가야 할 백두대간 능선, 오르막이 한고비 더 남아 있음.
16시17분 직벽 암능이 보이는 백두대간 능선, 나무계단 오르막을 오르고 있는 선두 대원들
16시26분 나무 계단 오르막을 올라 뒤돌아 본 지나온 길
16시30분 685봉 능선마루, 여원치 민박 간판 상단에 현위치 685봉을 적어 놓았다. 정상에서 지나온 능선 방향 일몰을 카메라에 담으며 휴식.
16시37분 출발
16시38분 돌담봉
16시41분 능선 좌측 직벽 암벽
16시42분 전망대에서
16시49분 이정표(수정봉 2.7Km, 여원재 1.65Km)
16시50분 능선을 따르는 대원들
16시52분 돌담봉을 향하여 나무 계단을 오르는 대원들
16시55분 돌담 능선마루를 넘어서자 좌측 기암괴석, 그 위에 부처같은 작은상이 희미하게 있는 것 같다. 가야할 고남산 능선이 희미하게 조망되기 시작
16시57분 능선 좌측 기암괴석이 가까이 보임
16시59분 능선은 우측 가이드가 있는 사면길 진행
17시02분 사면길 지나 이정표(수정봉 3.4Km, 여원재 1.0Km)와 표지기 이후 임도,
17시03분 우측 숲길 진입, 능선 좌측 돌아 내려 감.
17시04분 다시 임도, 이정표(주지사, 수정봉 3.8Km, 여원재 0.6Km, 주지암 0.3Km)
17시05분 임도 좌측 이정표(수정봉 3.54Km, 여원재 0.84Km), 다시 숲길 진입.
17시06분 고남산 구간 조망
17시08분 이정표(수정봉 3.6Km, 여원재 0.8Km), 숲길을 따라 진행.
17시12분 여원재 민박/막걸리 표지판 이후 나무 계단 내려섬.
17시13분 이정표(수정봉 4.14Km, 여원재 0.24Km)가 있는 시멘트 도로 도착, 좌측 진행
17시14분 이정표(수정봉 4.2Km, 여원재 0.2Km)에서 좌측 비포장길 진행
대원을 기다리고 계시는 효강님
17시16분 능선 우측 백두대간 여원치 민박, 시원한 막걸리를 적은 간판이 있고 표지기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는 것 확인, 완만 능선 진행.
17시18분 여원재가 보이기 시작
17시19분 나무 계단을 내려서자 이정표(백두대간 등산로, 고남산 5.4Km, 수정봉 4.8Km), 돌 할범에 운성대장군과 백두대간 등산 안내도, 동학농민혁명유적지 백두대간 안내석이 있고 24번 국도상의 여원재 도착.
17시20분 도로 건너편 다음 구간 들머리를 확인하고 우측 백두대간 여원재 휴게소 주차장에 주차되어 있는 버스에 오르며 산행을 마감한다.
휴게소 좌측에 임도를 따라 내려오면 만나는 길에 주지사 커다란 표지석
1월달에 신년초에 시작하는 백두대간 산행 두 번째이다. 겨울철이라 기상과 눈으로 산행에 어려움이 있을까 걱정을 많이 하고 시작한 두 구간인데 날씨와 눈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오히려 적당하게 시원하고 적당하게 눈이 내린 산행로는 걷기에 아주 좋아 산행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었던 산행이었다.
1차구간 종주시 날씨가 무척 더워 9시간 넘게 산행하였던 구간을 7시간도 안 걸려 마칠 수 있어 좋았다. 계속하여 이런 좋은 날씨 속에 좋은 풍광을 마음껏 즐기며 산행할 수 있기를 기원해 본다.
산행후 지리산 온천랜드가 있는 목욕탕에 들러 목욕을 하였으나 손님이 아무도 없다. 이 곳도 지난 번창하였던 그 시절은 지나간 것 같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온천지 부곡, 백암, 수안보 뿐만 아니라 이 곳도 을씨년스러워 보이는 것은 왜 일까?????
'2차 백두대간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 대간 2차 6구간(무령고개-영취산-북바위-민령-구시봉-육십령) (0) | 2013.03.05 |
---|---|
백두대간 2차 5구간(복성이재-봉화산-광대치-중고개재-백운산-영취산-무령고개) (0) | 2013.02.20 |
백두대간 2차 4구간(여원재-고남산-매요마을-사치재-새맥이재-복성이재) (0) | 2013.02.06 |
백두대간 2차 2구간 (0) | 2013.01.22 |
백두대간 2차 1구간(천왕봉-제석봉-연하봉-촛대봉-세석갈림길) (0) | 201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