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산클럽 1177차 백두 대간 2차 4구간
여원재-고남산-매요마을-사치재-새맥이재-복성이재
일자 : 2013년 02월 03일
참석 인원 : 47명
날씨 : 맑음
총도상거리 : 약19.5Km(사람과 산 자료 참조)
총 소요시간 : 6시간17분
여원재(470m 10:15)~장치(10:18)~561.8m(10:35)~합민성(641.1m 10:55)~615봉(10:59)~779봉(관암재11:34)~고남산(846.4m 11:46~11:49)~고남산 중계소(헬기장 11:50~11:54)~통안재(12:06)~704봉(12:14)~매요(12:25~점심식사~12:43)~유치재(573.2m)~매요마을회관(13:20)~유치삼거리(730번도로 13:28)~88고속도로 육교(13:42)~사치재(13:53~13:58)~597봉(14:06~14:11)~697봉(14:30)~새맥이재(14:44)~시리봉 직전봉(15:15)~시리봉 갈림길(776.8m 15:22)~781봉(15:39)~복성이뒷재(15:58)~아막성터(16:07)~601.4봉(16:17)~복성이재(16:32)
백두대간 3번째 출발이다. 성삼재~세석구간을 뒤로 미루어 놓으니 3번째 이지만 구간은 4구간이다.
1차 종주때는 이 구간 통과시 눈바람이 폭설로 내려 88고속도로가 마비되었던 추억을 생각나게 하는 겨울답지 않은 포근한 날씨가 며칠 동안 계속되어 오다 며칠 전 비가 내려 산에는 눈이 녹아 초 봄같은 모습,
남해고속도로를 달려 구례를 지나 남원으로 진입, 24번 국도를 구불구불 지루하게 달려 10시07분 여원재 휴게소 앞 도착, 산행 준비를 한다.
10시07분 운성대장군이 서 있는 지난 구간 날머리와 24번 국도가 지나가는 여원재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다.
10시13분 산행준비를 하고 인원점검 및 상견례 후 가볍게 몸을 풀고,,
10시15분 출발. 들머리 백두 대간 안내판에는 480m, 이정표(470m, 유치삼거리 10.5Km, 노치샘 6.7Km)에는 470m, 어느 것이 맞는지???
10시18분 뚜렷한 사거리 장치 통과, 이후 주위는 묘지가 가끔 나온다.
10시20분 우측 장동 마을과 그 뒤로 고남산 조망
10시21분 이정표(490m, 여원재 0.2Km, 고남산 5.2Km)
10시22분 좌측 시멘트 임도 따르는 대원들 과 이정표(480m, 여원재 0.3Km, 고남산 5.1Km)
10시24분 시멘트 임도에서 마을 좌측길로 선회
10시25분 이정표(480m, 여원재 0.4Km, 고남산 5.0Km)가 있는 밭둑으로 올라서며 본격적인 숲길 진입, 서진, 완만오름.
10시32분 535봉 능선마루 이후 겉옷을 벗고 있는 대원들
10시35분 비석묘(김해김공)가 있는 지형도상 561.8봉에서 서에서 북동으로 우측 급선회하며 내려섬.
10시40분 사거리 안부후 오르막,
10시41분 임도 우측 비닐하우스, 우측 지리산 태극능선 조망
10시43분 묘1기후 오르막후 묘군이 자주 나오는 오르막 오름.
10시44분 완만 오르막을 오르는 대원들
10시49분 우측 지리산 태극능선 조망하며 오름.
10시55분 641.1m 합민성 능선마루, 좌측 마을, 내리락, 오르락,
10시59분 지형도상 615봉 능선마루 이후 완만 능선 오르 내림 진행
11시11분 묘 1기가 있는 630봉 능선마루
11시18분 690봉 능선마루
11시21분 묘1기 이후 오르막
11시23분 730봉 능선마루에서 급경사 오르막
11시28분 넓은 묘지 이후 오르막
11시32분 급경사 오르막 좌측 조망,,,, 정말 멋진 풍광이다.
11시34분 지형도상 관암재(779m)
11시39분 로우프 암능 오르막
11시40분 두 번째 암능은 나무 계단, 수월하게 오름.
11시41분 나무 계단 올라서 뒤돌아 본 조망
11시43분 고남산 정상 직전 능선 좌측 기암
11시44분 두 번째 나무 계단
11시46분 중계탑과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정상 도착, 고남산(846.4m), 군 원형 삼각점, 알류미늄 표시대가 있고 조망은 지리산 능선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져 있다. 1차 종주시에는 눈바람으로 전연 조망을 하지 못하였던 기억이 난다.천왕봉, 반야봉, 노고단이 태극능선 뒤로 웅장하게 조망된다.
11시49분 내리막을 내려서며 출발
직진 방향(대간 아님)
고남산 정상 산불감시초소 조망
좌측 방향 하산
11시50분 커다란 정상석(고남산 해발 846.4m, 백두대간 고남산, 지리산)이 있는 헬기장. 중계탑이 가까이 보이고 산불감시 초소가 있는 정상을 뒤 돌아본다.
11시54분 좌측 내리막 내려섬.
11시57분 내리막을 내려서자 결빙이 아직 녹지 않은 구간이 나온다. 미끄럼 조심하며 진행.
11시58분 중계소 이어지는 시멘트 도로 내려서 우측 중계소 방향 진행, 정문 직전 좌측 숲길 내려섬.
11시59분 중계소 정문
12시04분 다시 시멘트 도로, 좌측 도로 따름
12시05분 좌측 숲길 진입,
12시06분 통안재, 다시 시멘트 임도 좌측 따름.
12시08분 좌측 숲길 진입, 참호가 가끔 나옴. 완만오름
12시14분 704봉 우측 사면 통과
12시16분 묘1기가 있는 능선 갈림길에서 좌측 능선버리고 우측 남동으로 급선회, 완만 내리막 진행.
12시18분 능선 우측 마을 조망, 능선을 따르는 대원들
12시20분 능선 우측 매요재와 지리산 능선 조망
12시21분 능선 우측 쓰러진 나무들, 이후 매요재 더 가까이 조망
12시25분 지형도상 매요, 차량 통행 흔적이 있는 비포장 도로 우측 매요재, 우측 진주 강씨 묘 앞에서 모처럼 후미까지 만나면서 점심식사.
12시43분 출발, 오르막을 올라 섬
12시49분 사거리, 능선 우측 매요재와 능선을 따르는 대원들, 계속 매요재를 보면서 진행, 완만 오르막.
12시55분 565봉 능선마루, 우측 매요재, 마을 조망
12시56분 능선 우측 쓰러진 나무 뒤로 마을과 매요재 조망
12시59분 유치재, 빨간 팻말과 삼각점(573.2m, 운봉 403)
13시02분 능선 표지기
13시03분 사거리
13시06분 능선 좌측 88고속도로 공사장
13시12분 능선 우측 하우스, 창고 건물 조망,
13시13분 능선 좌측 내려섬
13시15분 능선 우측 밭 과 창고 건물, 사거리
우측 도로 모습
13시17분 매요마을 시멘트 임도, 이정표(해발 470m, 고남산 4.4Km, 사치재 3.2Km), 좌측 마을.
곧 우측 선회 도로 따라 진행.
13시20분 매요 마을회관(도로 좌, 우 신, 구 건물)과 버스정류장 이후 갈림길 좌측 진행 도로 따름
13시21분 이정표(해발 460m, 고남산 4.5Km, 사치재 3.1Km), 좌측 매요 휴게실, 수많은 선답자들의 지나간 흔적을 남긴 표지기들, 그 뒤로 매요 교회
13시22분 도로 우측 운봉 초등학교, 계속 도로 따라 진행
13시24분 730번 지방도와 만나는 삼거리
13시25분 좌측 숲길 진입, 도로 우측 황산 조망
13시28분 숲길을 빠져 나오며 유치삼거리 도착, 이정표(해발 460m, 고남산 4.8Km, 사치재 2.8Km), 사치 마을 표지석,
도로 좌측 숲길 들머리에 표지기가 주렁주렁 매달려 산꾼을 유혹한다. 선두는 고속도로 육교를 넘기로 하고 좌측 도로를 따라가는데 유혹을 뿌리치고 순순히 선두를 따라 도로를 따르기는 선뜻 내키지 않아 한참을 망설이다 선두를 따르기로 한다.
13시30분 출발하며 우측 지리산 능선 조망.
아스팔트 도로 좌측 지나온 고남산을 카메라에 담으면서 간다.
13시41분 사치삼거리 표지판
13시42분 사치마을 표지석과 유정육교 건너며 88고속도로 통과, 사치 마을길 따라 고속도로 좌측길을 따라 간다.
13시51분 우측 고속도로 지하통로를 확인하며 아쉬운 마음을 달랜다.
13시53분 사치재, 이정표(해발500m, 복성이재 7.2Km, 유치삼거리 2.5Km)가 있다. 잠시 휴식을 하기로 한다. 건너편 절개지 위의 마루금을 바라보며 1차 구간때 급경사를 내려섰던 기억과 그 날 눈바람이 많이 불어 고속도로가 교통 마비되어 수월하게 통과하였던 기억을 해 본다.
13시58분 이정표 뒤쪽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은 쓰러진 나무로 약간 좌측을 돌아 올라서며 출발, 잡목지대가 시작된다.
14시02분 잡목지대 오르막을 오르며 우측 지리산 천왕봉과 능선 조망.
계속되는 잡목구간 오르막 오름.
14시03분 묘1기. 오르막
14시06분 597봉 헬기장, 지리산 천왕봉, 반야봉과 지나온 고남산을 조망, 선두 대원 사진 촬영
14시11분 우측 능선 따르며 출발
14시13분 가야 할 능선 조망. 1구간때 눈바람을 맞으며 통과했던 구간.
14시14분 610봉 능선마루 우측 지리산 휴게소 조망. 내리막 내려서자 다시 오르막 오름.
14시21분 635봉 능선마루. 우측 지리산 휴게소 조망
14시24분 묘1기가 있는 오르막 능선 오름
14시26분 바위 옆 오르막 능선을 오르는 대원들, 뒤돌아 본 지나온 고남산과 지리산 능선 천왕봉, 반야봉과 주위 산군 조망
14시29분 697봉 직전 능선마루
14시30분 697봉 능선마루후 내리막후 오르막
14시36분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 북동 방향 내려서며 새맥이재를 향한 편안한 능선길 따름.
14시42분 능선을 따르는 대원들, 이후 능선 표지기가 나오고 새맥이재로 이어지는 넓은 산행로
14시44분 새맥이재, 임도로 1차 구간시 우측 임도따라 탈출하였던 곳,
임도가 끝나는 우측 쓰러진 나무를 보며 임도 건너 숲길 오름.
14시47분 쓰러진 나무 밑 통과하며 오르막 오름
14시48분 능선 표지기
14시49분 능선 비석묘 통과
14시50분 사거리재, 좌측 오르막 오름
14시52분 묘1기 완만 오름
15시00분 능선 오르막을 오르다 휴식..
15시02분 출발, 계속되는 오르막 오름
15시08분 735봉 능선 마루 우측 바위 지대 나오기 시작, 내리락 오르막
15시09분 소나무가 넘어져 있는 능선마루
15시10분 작은 바위 지대 오르막을 오르는 대원들
15시11분 임도와 시설물, 그 뒤로 이어지는 산군 조망
15시15분 시리봉 직전 능선마루, 이후 핼기장 같은 공터
15시21분 사거리 안부, 이후 오르막.
15시22분 시리봉 갈림길, 우측 시리봉 가지 않고 좌측 내리막 진행 후 곧 오르막 진행
15시27분 775봉 능선마루
15시32분 780봉 능선마루
15시34분 능선마루에서 내려서기 전 바라 본 가야 할 봉화산 구간과 가야 할 781봉 조망, 내리락 오르락한다.
15시38분 커다란 바위(남근형상?) 통과, 뒤돌아 본 모습
15시39분 지형도상 781봉 능선마루와 조망, 이후 내리막길 결빙으로 미끄러움 조심하며 진행.
15시43분 내리막 능선 갈림길에서 우측 내리막 선회, 여기서 아이젠을 차고 내려서자 다시 오르막.
15시50분 능선 좌측 마을과 산군
15시53분 685봉 능선마루
15시55분 사거리 안부, 오르락, 내리락
15시58분 아막성터를 바라보며 내려서 복성이 뒷재 도착, 아무런 표시가 없다. 아이젠을 풀고 너덜을 올라선다.
지나온 781봉 능선을 바라보며
16시00분 아막성터로 들어서며 지나온 고남산 구간 조망, 좌측 성터,
16시04분 작은 바위와 소나무의 710봉 능선마루, 지나자 묘1기후 내리막 직전 좌측 시설물과 산군 조망, 내리막 후 완만 능선
16시07분 아막성터 안내판
16시08분 아막성터 내려서기 전 가야 할 봉화산 구간 조망, 이후 너덜 성터 내리막을 조심하며 내려섬.
16시11분 성터를 내려서자 이정표(시리봉 2.0Km, 복성이재 1.2Km, 아막성 0.2Km, 흥부묘 0.7Km)가 있지만 방향이 복성이재가 우측으로 잘못 가르키고 있다. 여기서 계속 직진.
16시12분 뒤돌아 본 아막성터
16시15분 능선 좌측 지나온 고남산 구간, 이 구간 내내 조망이 된다. 바로 좌측 시설물로 가는 임도와 산군 조망.
16시17분 지형도상 601.4봉 능선마루 이후 내리막,
16시21분 구. 복성이재, 시멘트 임도, 이정표(봉화산 4.2Km, 고남산 15.5Km, 성리(흥부마을) 1.5Km), 직진하여 오른다.
16시23분 아래, 위 묘2기 사잇길 통과, 우측 605봉 능선마루
16시29분 차단기가 있는 비포장 도로 통과, 우측 복성이재로 가는 도로 보임. 돌계단 오름.
16시31분 복성이재 도로 확인.
16시32분 복성이재 도착, 산행종료. 흥부골 짖재고개 흥부소공원 표지판, 복성리 성암마을 커다란 표지석, 성암마을 도로표지판, 다음 구간 들머리 이정표(사치재 7.2km, 중치12.1km), 복성이재 안내판.
복성이재는 장수군 번암면 복성리 성암마을에서 남원시 아영면 성리 치재마을을 넘는 고개로 2차선 포장 도로이며 교통량 측량 카매라가 있고 복성리 안내석이 있으며 이정표에 봉화산로, 장수군 번암면 성암마을 700m가 있다, 남원시 아영면 성리에는 흥부마을이 있어 봉화산 철죽철에 흥부마을을 겸해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 참고 ; 상기 고도는 지형도에 있는 높이는 지형도로, 아닌 능선마루의 고도는 나의 SUNTO 팔목 고도계에서 오차 부분을 가감한 높이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그리고 이 구간의 기록이 상세히 되어 있는 것이 없어 좀 더 세밀하게 기록을 해 보았으므로 참조바람.
'2차 백두대간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 대간 2차 6구간(무령고개-영취산-북바위-민령-구시봉-육십령) (0) | 2013.03.05 |
---|---|
백두대간 2차 5구간(복성이재-봉화산-광대치-중고개재-백운산-영취산-무령고개) (0) | 2013.02.20 |
백두대간 2차 3구간(성삼재-작은고리봉-만복대-고리봉-수정봉-여원재) (0) | 2013.01.22 |
백두대간 2차 2구간 (0) | 2013.01.22 |
백두대간 2차 1구간(천왕봉-제석봉-연하봉-촛대봉-세석갈림길) (0) | 201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