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산클럽 1220차 금남, 호남정맥 1차
영취산~무령고개~장안산~948봉~960봉~밀목재
일자 : 2015년 1월 5일
참석 인원 : 60명
날씨 : 맑고 포근함.
도상거리 : 약 11.3Km
소요시간 : 약5시간51분
무령고개(10:14)~영취산(1075.6m 10:29~10:34)~무령고개(10:46~10:48)~첫번째 나무 덱크 전망대(11:31)~두번째 나무 덱크 전망대(11:40)~세번째 나무 덱크 전망대(11:50)~장안산(1237m 12:02 점심식사~12:33)~985봉(13:04)~955봉(13:45~13:48)~948봉(14:00)~897봉(우회 15:04)~960봉(15:43~15:46)~밀목재(16:05), (약 5시간 51분 소요)
한등 910차, 2003년1월5일, 12년의 세월이 지나간 지금, 다시 시작하는 호남정맥, 강추위와 눈바람속에 힘들게 산행하였던 기억난다. 12년후의 1월4일은 날씨도 포근하고 도로는 차량 통행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눈, 산행에 지장을 받지 않는 기상이다.
부산 출발 07시, 무령고개 주차장 도착 10시00분, 아이젠과 스페치 착용하며 산행 준비,,
10시10분 주차장에서 산행 준비를 하며,
10시12분 주자창 출발, 무령고개를 향한다.
10시14분 무령고개 쉼터에서 시산제 지낼 준비를 하는 것을 보며, 영취산을 다녀 오기 위하여 출발한다. 1차때는 기상 상황으로 가지 못하여 날씨가 좋아 다녀오기로 한다.
10시28분 눈 쌓인 나무계단과 오르막을 올라 영취산 정상이다.
10시29분 영취산(1075.6m) 정상 도착, 정상석과 삼각점, 이정표등 백두대간 종주시 확인한 그대로이다.
10시34분 사진 촬영을 하고 왔던 길로 다시 내려간다. 내리막길 건너편 산불감시초소와 팔각정 확인.
10시46분 무령고개 도착, 시산제 후 주차장의 버스가 회차하지 못하여 밀고 오기를 기다린다.
10시48분 출발, 나무 계단을 올라선다. 산행로는 눈이 많이 쌓여 있지만 많은 산행객들이 길을 잘 밟아 놓아 쉽게 진행..
산불감시초소가 965봉 능선 좌측에 있지만 러셀된 길을 따라 진행. 우측 팔각정도 나무 사이로 보인다.
10시58분 이정표가 있는 팔각정 갈림길 사거리,,,, 직진, 숲길로 진행
11시00분 괴목마을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
11시01분 오르막길 좌측, 희미하게 백운산, 영취산 능선과 우측 괴목마을 조망
11시12분 오르막, 완만, 오르막이 반복되는 산행로를 가면서,,,
11시16분 1035봉 능선마루에 올라서 잠시 휴식, 날씨가 추울 것으로 보고 옷을 뚜껍게 입어,, 옷을 벗고 장갑도 벗고,
11시17분 좌측 백운산 능선과 구조 표지목을 보며,,,
11시22분 장안산 정상 1.5 Km(갈대밭 0.5 Km), 무령고개 1.5Km이정표, 1차때와 동일한 표시 이정표를 지나며,,, 무룡고개와 장안산의 중간 지점이다.
11시26분 눈덮힌 능선길,,,
11시29분 좌측 백운산 능선을 보며,,, 산행로를 벗어나면 눈은 무릎까지 차 오른다.
11시31분 나무 덱크 전망대,,, 새롭다.. 장안산 정상과 백운산 능선 조망,
11시40분 두 번째 나무 덱크 전망대,, 장안산 정상과 백운산 능선 조망,
11시46분 눈 쌓인 갈대밭,,,, 장안산은 점점 가까워지고,,
11시50분 세 번째 나무 덱크 계단과 전망대를 향하여,,
12시00분 정상을 오르는 나무계단에서,, 백운산 능선과 지나온 길을 보며,
12시01분 장안산 정상의 산불감시탑 이후 눈덮힌 헬기장을 보며,,
12시02분 헬기장과 장안산 정상(1237m) 도착, 많은 산행객들이 점심 식사를 하고 있다. 잠시 줄을 서서 기다리다 정상석 사진촬영을 하고 자리를 펴고 포근한 날씨속에 점심 식사를 한다.
12시33분 출발, 이정표(밀목재 9.3Km, 무령고개 3.0Km)를 지나 급하게 내리막을 내려선다. 이 곳부터 한참을 고도를 낮추며 내려간다.
12시58분 이정표가 있는 사거리 안부. 둥근 나무 의자가 있고 좌, 우 갈림길에는 로우프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오르막을 오른다.
13시04분 지형도상 985봉 능선마루, 지소골(장안사)로 분기되는 봉우리다.
13시10분 긴의자 2개가 있는 능선마루(950봉)
13시18분 눈길 능선을 가며,,,
13시20분 능선 주위는 산죽이 보이고,, 좌측은 눈쌓인 산을 보면서....
13시34분 지형도상 955봉 직전 사거리 안부,,, 백두대간길을 적은 이정표가 있다. 직진 방향 948봉 우측 방향이 가잿재 방향이고 좌측은 마실길이다. 직진하는 오르막은 눈이 녹은 통나무 계단길이다.
13시45분 지형도상 955봉 능선마루, 긴의자가 있다. 잠시 휴식을 하고
13시48분 출발. 계속 북서 방향 진행이다. 내려섰던 마루금은 다시 오르막.
14시00분 지형도상 948봉 능선마루, 마루금은 서서히 서진, 남서진으로 선회. 우측 북서 방향은 가잿재 방향.
14시06분 장안리 삼거리 갈림길 안부, 이정표가 있다.
14시11분 능선 우측 마을 조망
14시13분 능선 우측 마을 조망
14시21분 능선마루를 넘어,,, 눈길 마루금을 이어 간다.
14시40분 묘1기가 있는 곳에서 휴식,,,,
14시45분 건너편 가야할 897봉 능선을 바라보며 출발, 내려선다.
14시48분 능선 우측 마을 조망하며 내려서자 다시 오르막 눈이 높이 쌓여 있는 길은 걷기 쉬운 곳으로 옮겨 가면서 오른다,,,,
14시57분 눈길 오르막을 오르며,,,
15시04분 지형도상 897봉,,, 좌측으로 우회한다.
15시07분 능선 우측 마을 조망,
15시09분 능선 우측 조망이 훤하게 트인다.
15시15분 눈덮힌 마루금 모습,,,
15시24분 눈덮힌 오르막, 쓰러진 나무 사이로 수그리,,,,,,
15시29분 능선마루(950봉) 좌측 사면으로 우회하여 남서진하며,,,,
15시40분 능선 우측 마을 조망,
15시41분 960봉을 향하여 오른다,,,
15시43분 삼각점과 이정표가 있는 지형도상 960봉 능선마루,,, 잠시 휴식을 한다.
15시46분 우측 내리막으로 서진,,, 출발
15시52분 내리막길 쉼터,,, 계속 가파르게 내려선다.
15시53분 다음 구간의 마루금인 자두봉을 바라보며,,,
15시58분 눈이 녹아 있어 아이젠을 풀고,,,, 가야 할 다음 구간의 마루금을 바라보며,,,,
16시00분 묘지가 있는 갈림길 이정표에서 직진한다.
16시01분 이정표,, 지나온 능선을 바라보며 우측 내리막을 내려선다.
16시04분 밀목재, 2차선 아스팔트 도로다. 날머리 금, 호남 정맥 안내판이 있다. 좌측 덕산마을로 아스 팔트 도로를 따른다.
16시06분 수몰민 이주 마을이다. 입구에 자두봉 등산 안내도와 덕산 버스 정류장이 있다. 그 뒤로 버스 주차장,
16시09분 사진 촬영을 하고, 스페치를 풀면서 배낭 정리 후 버스에 오르며 산행을 마감한다.
산행로를 많이 정비하여 놓았고,, 눈산행이지만 걷기에 불편함이 없이 포근한 날씨 덕분에 수월하게 마친 첫 구간이다. 60명이 참석 버스와 미니 버스 한 대로 첫 출발이 좋다. 이제 출발하였으니 쉬엄 쉬엄 가 봐야지!!!!!
'금,호남2차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남, 호남정맥 5차(강정골재~부귀산~가죽재~주화산~모래재휴게소) (0) | 2015.03.04 |
---|---|
금남, 호남정맥 4차(중리마을~신광재~성수산~살개재~마이산~봉두봉~강정골재) (0) | 2015.02.17 |
금남, 호남정맥 3차(차고개~팔공산~삿갓봉~시루봉~신광재~중리마을) (0) | 2015.02.04 |
금남, 호남정맥 2차 2구간(밀목재~사두봉~수분치~신무산~차고개) (0) | 2015.01.19 |
호남 정맥이란? (0) | 201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