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산클럽 1224차 금남, 호남정맥 5차
강정골재~부귀산~가죽재~주화산~모래재휴게소
일자 : 2015년 3월 1일
참석 인원 : 42명
날씨 : 눈온 후 흐림.
도상 거리: 16.7Km
총소요시간 : 7시간 20분
강정골재(10:10)~475봉(10:42)~549봉(11:02)~635봉(11:25)~부귀산(806.4m 11:42~11:46~635봉(12:27 점심식사 12:50)~653봉(12:58)~우무실재(13:03)~645봉(13:14)~질마재(13:30)~600봉(필봉 13:54)~가정고개(14:12)~490봉(14:30)~가죽재(26번국도14:47)~520봉(15:10)~622봉(턱골봉 15:43~15:46)~645봉(15:58)~641봉(16:31)~산불감시초소 갈림길(16:48)~산불감시초소봉(620봉 16:55)~산불감시초소 갈림길(17:02)~세봉임도(17:05)~주화산(565m 17:11~17:14)~모래재 휴게소(17:30)
2015년도 3월 첫날이다. 07시 부산 출발, 남해고속도로 주변 풍광은 눈이 내려 하얗게 쌓여 있고 날씨는 간간히 눈,비가 내린다. 4차까지 겨울답지 않은 포근한 날씨에 수월하게 산행하였으나 이번 산행은 밤새 눈이 내려 염려되지만 얼어 있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하며, 먼 길을 달려간다.
10시05분 지난 구간 절개지로 내려서지 않고 그 우측 시설물쪽으로 하산하였으나 절개지는 철망을 설치하여 놓아 개구멍을 넘어 올 수 있는 26번 국도인 강정골재에 도착. 날씨 탓에 인원점검 및 상견례없이 산행 준비후,,,
10시10분 아이젠 착용없이 출발. 이 곳에도 변화가 있다. 버섯재배지는 볼 수 없고 좌측 시멘트 도로 따른다.
10시14분 한방병원 건물 못 미쳐 좌측 숲으로 진입하여야 하나 들머리를 지나 병원 건물 옆에서 능선 진입.
10시22분 팔각정 전망대, 흐린 날씨 탓에 조망이 전연 안된다. 우측 북쪽 방향 내리막으로 내려선다.
10시25분 시멘트 도로 우측 진행. 곧 좌측 밭 울타리따라 북진한다.
10시30분 숲길 오르막을 올라 능선마루를 넘고,,,
10시34분 능선을 가며,,,,
10시38분 산행로 주위는 눈꽃이 만발하다.
10시40분 정곡리 마을 조망,,
10시42분 묘2기 갈림길, 475봉 능선마루, 좌측 진행, 겉 옷을 벗는 대원들도 있다.
10시45분 안부, 눈꽃속의 멋진 풍광,,
10시51분 오르막을 오르다 마루금은 사면길로 완만하게 이어진다.
10시53분 통나무 계단,,
10시56분 능선 좌측 잣나무 조림지를 보며,, 완만한 사면길 진행
10시58분 통나무 계단 후 능선 갈림길, 우측 오르막,,,,
11시02분 549봉 능선마루 좌측 사면길
11시04분 능선 우측 농장 울타리를 만나고.....
11시07분 갈림길 이정표, 이후 통나무 계단 오르막길
11시08분 오르막을 오르는 대원들
11시09분 울타리는 계속 이어지고,,,,
11시13분 우측 울타리는 계속 이어지고,,,,
11시14분 능선 우측 능선마루 좌측 사면 통과
11시16분 우측 울타리는 멀어지는가 하였으나 계속 이어지고,,,,
11시17분 부귀산이 보이기 시작,,, 시야가 좋지 않아 별로다.
11시25분 635봉 능선마루 우측 사면 통과,,,
11시27분 농장 울타리는 다시 이어져 나오고 임산 특용작물 시험재배지로 출입금지판과 이정표(부귀산 0.8Km), 출입금지 안내판을 확인한다.
11시28분 곧 이어 갈림길 이정표(부귀산 0.7Km)
11시30분 철망 울타리 출입문과 그 뒤로 시설물이 보인다.
11시33분 계속되는 오르막 눈길 능선 우측 철망 울타리와 헤어지며,,,
11시34분 눈쌓인 희미한 갈림길을 지나고,,,,
11시37분 이정표와 많은 표지기가 있는 능선 갈림길, 좌측 부귀산으로,,
11시41분 눈 덮힌 묘1기를 지나,,,
11시42분 부귀산 정상(806.4m) 도착,,,1차 종주시의 기록을 참조하면 “전북 산사랑회에서 세운 알류미늄 표지대(부귀산 정상(806.4m) 금남, 호남 정맥/대목교 4.1Km, 활인동치 4.2Km, 26번 국도 6.2Km)와 그 옆에 삼각점(진안 26, 1987 재설), 묘지 1기가 있으나 조망은 별로다.”
정상은 1차 종주때와 변함이 없고 매직으로 의자 설치해 달라는 글과 정상 표시를 한 코팅 팻말 두 개가 나무에 매달려 있다.
11시46분 정상에서 사진 촬영 후 좌측 50미터 정도 내려가니 묘1기가 나오고 바로 옆 능선 끝에 묘1기가 또 있다.
11시47분 전망은 궂은 날씨탓에 잘 되지 않아 돌아나와 암능 로우프를 따른다. 직벽 암능이 눈으로 덮혀 로우프를 잡고 조심하여 돌아내려가다 아이젠 착용,,,,,
11시54분 급사면을 내려서는 대원들,,, 낙엽과 눈으로 무척 미끄럽다.
11시57분 급사면을 내려서며 돌아본 부귀산 암능
12시05분 급사면을 내려서며 잠시 완만하다 다시 급사면을 내려섬.
12시09분 다시 완만하여지며 능선은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한다.
12시14분 615봉 암봉을 넘어서고,,, 계속 내리락 오르락 반복하여 진행
12시27분 635봉 능선마루 지나 평탄한 곳 자리 잡아 점심식사,, 아이젠을 벗는다.
12시50분 출발, 오르막을 오른다.
12시55분 안부를 지나고
12시58분 653봉 암봉을 지나고,,,
13시03분 우무실재,,, 이 곳은 지형도상 우측으로 마곡마을과 좌측으로 정곡재로 연결되는 길이다. 눈이 내려 사거리 갈림길 확인이 어렵다.
13시04분 지나온 부귀산을 희미하게 바라보며,,,
13시08분 610봉 이후 계속 오르막
13시14분 지형도상 645봉 능선마루, 내리락 오르락한다.
13시23분 580봉 능선마루
13시30분 질마재, 이 곳은 지형도상 우측으로 오룡동, 좌측으로 광주동으로 내려서는 길이다. 오르막을 오른다.
13시38분 능선마루를 넘고,,,
13시41분 능선 우측 마을 조망
13시46분 575봉 능선마루, 내리락 오르락
13시53분 600봉 능선마루, 필봉을 적은 코팅 팻말 확인, 분기봉이다.
“600봉에서 주화산을 향하여 북서 방향으로 방향을 선회한다. 오룡동 마을과 가정마을, 차도가 보이기 시작한다. 내리막 우측으로 오룡동에서 올라오는 저수지는 계속하여 확인하면서 내려서니 가정마을과 오룡동 마을을 연결하는 가정고개에 도착한다.”1차 종주시의 산행 기록이다.
13시54분 잠시 휴식하고 우측 미끄러운 내리막을 조심하며 내려서 능선을 따른다. 능선 우측 빼때기산이 뾰죽하게 조망된다.
14시01분 능선을 따르며...
14시05분 530봉 능선마루,,,,
14시06분 능선 좌측 시야가 뚤리며 도로와 마을 조망,,, 이 후 내리막 능선은 눈이 녹아 땅이 질고 미끄러운 길을 내려선다.
14시12분 기정고개, 사거리가 뚜렷한 고개다.
14시14분 오르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지나온 능선
14시16분 480봉 능선마루를 넘고,,분기봉 우측으로 내리락 오르락하며,,,
14시20분 능선마루를 넘고....
좌측 저수지는 사진이 희미하다.
14시23분 사거리 안부, 우측 가까이 저수지 조망, 좌측에도 작은 저수지가 보인다.
14시25분 능선마루 넘어 완만 진행,,
14시28분 산불 흔적이 있는 벌목지 능선을 가며...
14시30분 지형도상 490봉 능선마루, 조망이 트인다. 작은 저수지와 도로 ; 지나온 능선 조망,,,
14시32분 출발, 우측으로 내려선다.
14시35분 능선 좌측 마을 조망
14시39분 능선 우측 조망, 너덜지대를 넘어서고
14시40분 눈 덮힌 묘1기,,,
14시41분 능선 우측 저수지 조망
14시45분 가죽재(26번 국도)위 동물 이동 통로 시설물 앞 도착,,, 철망 우측으로 내려선다.
14시47분 전주-진안간 26번 4차선 국도인 오룡동의 가죽재, 동물 이동 통로 를 설치하여 놓아 수월하게 통과.
14시49분 묘지를 지나자 490봉 능선마루를 넘고, 우측으로 내려선다.
14시55분 사거리를 지나 오르막
14시58분 피평윤씨 가족묘를 지나고
15시00분 450봉 능선마루를 넘고, 내리락 오르락하며,,,
15시08분 능선 갈림길 우측 오르막 진행, 잡풀이 성가신 구간,,,,
15시10분 지형도상 520봉 능선마루, 우측 지나온 능선 조망, 내리락 오르락 능선을 간다.
15시20분 울타리가 있는 안부를 지나자 된비알이다.
15시25분 된비알을 오르며,,,
15시34분 620봉 능선 분기봉, 좌측 진행, 산행로는 거의 칼날 같은 암능이다, 조심하며 간다.
15시42분 암능을 지나고
15시43분 지형도상 622봉, 암봉이다. 스마트폰에는 턱골봉으로 표시, 우측 저수지 조망, 사진 촬영 및 휴식
15시46분 출발, 좌측 갈림길이 있으나 마루금이 아니다. 직진하는 칼날 능선을 따른다. 위험 구역이다. 눈으로 미끄러워 엉덩이 깔고,,,
15시50분 칼날 능선을 내려서는 대원들을 보며,,, 내리락 오르락한다.
15시58분 지형도상 645봉, 좌측 사면으로 내려선다. 눈이 미끄럽다. 아이젠을 착용하지 않아 조심스럽다. 한참을 내려선다.
인증샷
16시21분 안부에서,,, 다시 오르막이다.
16시31분 지형도상 641봉 능선마루. 불어오는 바람이 차다.... 직진하며 능선을 따른다.
16시35분 능선 좌측과 우측 도로 조망하며,,,
16시36분 능선마루를 넘고,,,
16시40분 능선 우측 도로를 보며,,,
16시43분 능선 좌측 도로와 하산 지점 전주 공원을 보며,,
16시44분 잣나무 조림지와 능선 우측 조망하며
16시45분 안부를 지나고,,,
16시48분 우측 산불감시 초소봉과 좌측 사면길, 갈림길에서 우측 산불감시 초소봉으로 오른다.
16시55분 산불감시 초소봉(620봉), 날씨 탓으로 조망이 전연없다. 아쉬움을 뒤로 한채 사진 촬영을 하고 좌측 내리막길을 찾아 보았으나 눈과 잡풀로 왔던 길로 돌아 내려간다.
17시02분 산불감시 초소봉 갈림길
17시05분 세봉임도, “세봉(細峰)임도개통식수 1984. 12.20. 전북 산림 조합장 일동” 표지석 뒤 숲길로 다시 주화산을 향하여 올라선다.
17시11분 주화산(565m) 도착, 가장 최근 금남 정맥 종주시 지나 갔던 곳에 또 오게 된다. 1차 종주시 기록을 보면 “금남, 호남의 분기점인 주화산에 도착한다. 조망은 별로고 부산 건건 산악회에서 세운 주흘산(주줄산) 565m 금남 호남 분기점 알류미늄 표지대에는 “부산” 글자를 지워버려 건건산악회만 보이고, 건너편에는 전북 산사랑회에서 세운 표지대는 주화산(565.0m) 금남정맥, 호남정맥, 금남호남정맥의 방향을 표시하여 놓았다.“ 별 다른 변화 없고 나무에 호남 정맥 종착지 표시한 것과 이정표가 있다. 건너편 산불감시초소봉이 보인다.
17시14분 사진 촬영 후 호남 정맥 방향 진행하며 출발,,,
17시16분 헬기장 통과
17시18분 참호 통과,,
17시19분 이정표,,,,, 곰티재 방향 진행
17시20분 다음 구간 가야 할 마루금을 보며,,,
17시25분 곰티재 방향에서 좌측 모래재 후게소로 탈출하는 갈림길....
17시26분 개 사육장을 지나며...
17시27분 시멘트 도로를 내려서고
17시30분 전주 공원 묘원이 있는 모래재 휴게소 도착,, 산행을 마감한다.
이번 구간은 전반적으로 칼날같은 형상을 한 능선이 많았으나 진행에는 큰 무리가 없었으나 눈이 얼지 않고 쌓여 있는 구간이 대부분이라 아이젠을 착용하지 않아 미끄러움에 신경이 쓰였다. 이제 금남호남정맥의 63.3km가 끝나고, 북으로 126km의 금남정맥, 남으로는 397.7km의 호남정맥이 나뉘는 요충지를 지나 호남정맥을 연결하여 놓았다.
1차 구간의 산행 기록을 참조하여 부귀산 특징을 적으면 소재지는 전북 진안군 부귀면과 진안읍으로 부귀산의 북쪽인 부귀면 대곡마을이나 손실골에서 오르면 육산, 진안읍 원정곡 마을에서 오르면 암봉으로 이루어진 산이고, 이 두 방향에서 산의 조망이 잘된다. 부귀면 대곡마을은 원래 한실골(韓室谷)인데 일본인들이 고쳤으며, 마을 뒷산인 부귀산은 사지앙천(蛇之仰天) 즉 뱀이 하늘을 우러러보는 형상인 명당이 있고, 가뭄이 들면 진안지역의 사람들이 모여서 기우제를 지내는 곳이며, 산삼을 캔 적이 있는 곳이고 한다. 결국 부귀의 이름이 말해주듯이 이 지역은 산수(山水)가 좋아 천하명당자리에 터를 잡은 부귀한 곳이라는 의미이라고 한다.
대곡마을 주민들은 부귀산을 '배택산'이라고도 하는데, 말세가 되면 이산에 올라서 배를 타고 나가야 살수 있다고 하는 속설을 간직한 산이다. 부귀산 정상은 상당히 넓은 터가 있고, 잡목 때문에 조망이 어려우나, 손싯골에서 오르는 산능에서는 북쪽의 운장산과 남쪽의 마이산, 동쪽의 덕유산 연봉들을 볼 수 있다
'금,호남2차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남정맥 2차(슬치휴게소~갈미봉~옥녀봉~한오봉~경각산~불재) (0) | 2015.04.07 |
---|---|
호남정맥 1차(모래재휴게소~곰재~만덕산~마치~슬치~416.2봉~슬치휴게소) (0) | 2015.03.18 |
금남, 호남정맥 4차(중리마을~신광재~성수산~살개재~마이산~봉두봉~강정골재) (0) | 2015.02.17 |
금남, 호남정맥 3차(차고개~팔공산~삿갓봉~시루봉~신광재~중리마을) (0) | 2015.02.04 |
금남, 호남정맥 2차 2구간(밀목재~사두봉~수분치~신무산~차고개) (0) | 2015.01.19 |